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96.3 Bil in Property Taxes for July
  • 96.3 Bil in Property Taxes for July The province announced that it levied a total of 96.375 billion won of property tax in July. This is an increase of 5.1 billion won and 5.7 percent increase from 91.2 billion won last year. Property tax payments are subject to building, housing, and ship owners as of June 1st this year, and the payment period is until the 1st of next month. An additional 3% will be charged when deadlines are missed and installment payments are supported for amounts that exceed 2.5 million won. 제주도, 7월 정기분 재산세 963억 원 부과 제주도가 올해 7월 정기분 재산세 963억 7천 5백만 원을 부과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912억 원보다 51억 원, 5.7% 증가한 규모입니다. 재산세 납부 대상은 올해 6월 1일 기준 건축물이나 주택, 선박 소유자로 납부 기간은 다음달 1일까지입니다. 납부 기한을 넘길 경우 3%의 가산금이 추가로 부과되며 납부세액이 250만원을 초과할 경우 분할 납부가 가능합니다.
  • 2022.07.18(mon)  |  고주연
  • Climate Change Affects Garlic Farmers
  • Climate Change Affects Garlic Farmers The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said it is necessary to delay the garlic vinyl coating period due to climate change. The Center explained that crop coatings is customarly done in early and mid-October. However the higher temperatures in fall is expected to slow down growth and increase the risk of pests. Accordingly, he recommended to delay sowing and vinyl coating by about 10 days and suggested to use black vinyl instead of transparent vinyl or spray liquid mulching agents instead. "기후변화로 마늘 파종·피복 10일 정도 늦춰야" 제주도 농업기술원 서부농업기술센터가 기후변화로 마늘 비닐피복 시기를 늦출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부농업기술센터는 관행적으로 마늘 파종 후 10월 상중순에 비닐피복을 하고 있지만 가을철 기온 상승에 따라 생육이 멈추고 병충해 발생 우려가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따라 파종과 비닐피복 시기를 각각 10일 정도 늦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피복 소재를 투명비닐에서 검정비닐로 바꾸거나 비닐 대신 액상멀칭제 살포 등 피복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습니다.
  • 2022.07.18(mon)  |  고주연
  • ‘Big Step’ Rate Hike to spike Househould Debt
  • ‘Big Step’ Rate Hike to spike Househould Debt Following BOKs decision to hike up the key rate by 0.5 percentage points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burden on household debt is expected to rise. According to BOK Jeju Branch, household loans which were at 17.3 trillion won as of April are estimated to jump to 90 billion won with a 0.5% increase in key rate. The BOK predicts this will pose a 0.4% increase to the provinces gross GRDP, and increase the burden of household loans. Considering that the burden will also affect small business owners, the BOK also urged for the need of careful risk management. ​​"기준금리 '빅스텝'에 제주 가계이자 9백억 원 증가" 한국은행이 사상 처음으로 기준 금리를 0.5% 포인트 올린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제주지역 가계 대출 부담도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가계 대출 잔액은 17조 3천 억 원으로 기준금리가 0.5% 포인트 인상되면 이자 부담액이 9백억 원 정도가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국은행은 이는 제주지역내 총생산 GRDP의 0.4%가 늘어나는 규모로 가계 대출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소상공인 운영자금까지 고려하면 이자 부담이 더 늘어날 수 있다며 금리 인상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2.07.18(mon)  |  고주연
  • Too Hot for Watermelons
  • Too Hot for Watermelons (신엄리) Sineom-ri, Aewol-eup is noted as being one of the biggest watermelon producers in Jeju. Farmers are busy harvesting on a field full of watermelons wrapped in newspaper. Watermelons have ripened quickly, as the summer heat came earlier this year. Watermelon plants love the heat. But this year’s earlier sweltering heat impedes the fruit’s growth. Fewer numbers of the crop are being shipped to the market as the flesh ripens without growing large enough. INTERVIEW O Sang-seok / Jeju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The appropriate temperature for outdoor watermelons is 28 degrees Celsius. But this year, the daytime high has risen to 30 or more degrees since the end of June. It slows down growth. A long spell of droughts and high temperatures can cause sunscald and rot inside. This is why farmers are worried even though the watermelon price is expected to be set high as the demand is increasing. INTERVIEW Kim Byeong-jin / Watermelon grower The recent heat wave increases the demand for watermelons. Meanwhile, the overall crop is worse than last year due to the heat wave and drought. The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advises watermelon growers to wrap the fruit with newspapers to prevent sunscald as hot weather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가뭄·더위에 수박 농가도 비상 제주 수박의 60%를 생산하는 애월읍 신엄리. 신문지에 싸놓은 수박이 밭 위에 가득합니다. 이른 더위 탓에 빨리 익은 수박을 농민들이 분주하게 수확하고 있습니다 수박은 원래 더워야 잘 자라는 작물이지만 올해는 더워도 너무 더운 날씨에 생육이 오히려 더딘 편입니다. 크기가 충분히 크지 못한 채 속이 다 익어버리면서 상품 비율이 많이 줄었습니다. <인터뷰 : 오상석/제주농업기술센터 근교농업팀> "노지 수박의 경우에는 적정 온도 28도 정도가 유지돼야 생육에 좋은데 올해 같은 경우는 6월 말부터 낮 온도가 30도가 넘게 올라서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상황이…." 여기에 계속된 가뭄과 고온에 버티지 못하고 줄기가 까맣게 올라오며 안이 썩어버리는 피해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수요가 크게 늘면서 좋은 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농민들의 걱정이 여전한 이윱니다. <인터뷰 : 김병진/수박농가> "아무래도 요즘 폭염이어서 소비는 좀 많은 편입니다. 전반적인 작황은 작년에 비해 좀 안 좋습니다. 폭염이랑 가뭄으로 인해서 작황은 전년에 비해 좀 안 좋은 상황입니다." 농업기술원은 당분간 계속 더운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수박을 신문지로 싸는 등 일사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 2022.07.13(wed)  |  고주연
  • Jeju Cracks Down on Direct Payment System
  • Jeju Cracks Down on Direct Payment System The Jeju branch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will conduct a compliance inspection by September 15 on farmers who applied for Public-Benefit Direct Payment. Inspections will focus on farmland maintenance, farm waste management, village community activities, and agriculture archiving. In particular, the reviews will focus on areas where crop production is not possible using aerial video data and field surveys. The service team urged for cooperation as farmers may have a 100% deduction of funds if they are found not to comply with regulations. 농관원 제주지원, 직불금제 준수사항 이행 여부 점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제주지원이 공익직접지불금을 신청한 농업인을 대상으로 오는 9월 15일까지 준수사항에 대한 이행여부를 점검합니다. 주요 점검 사항은 농지 기능 유지 여부와 영농폐기물 관리,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 영농일지 작성 등입니다. 특히 농지 기능유지 항목은 항공영상 자료와 현장조사 등을 통해 농작물 생산이 불가능한 면적이 있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조사하게 됩니다. 농관원 제주지원은 준수사항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최대 직불금의 100%가 감액될 수 있다며 준수사항을 잘 이행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 2022.07.13(wed)  |  고주연
  • Repair on Haenyeo Heritage Sites
  • Repair on Haenyeo Heritage Sites The province plans to do repairs to preserve (불턱) Bultuks and (해신당) Haesindang shrines, heritages of the 해녀 Haenyeo women divers. Repairs will be made at 3 locations including areas damaged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The stones will be refurbished to their original form. The province will also develop a maintenance manual for sustained management and will discuss on designating Haenyeo Heritage as a regional heritage. 해녀유산 불턱·해신당 6곳 보수 정비 추진 제주도가 해녀 유산인 불턱과 해신당 등을 보수 정비합니다. 정비 대상은 행정시에서 신청한 3곳과 태풍 같은 자연재해로 훼손된 3곳입니다. 특히 정비 과정에서 석재는 현장 주위의 돌만 사용하는 등 옛 주민들의 방식으로 원형에 가깝게 정비한다는 방침입니다. 제주도는 원형 보수를 위해 기본 실측과 보수 매뉴얼을 구축하고 해녀유산이 향토유산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협의할 계획입니다.
  • 2022.07.13(wed)  |  고주연
  • Jeju Promotes Specialized Education
  • Jeju Promotes Specialized Education Special classes for disabled infants will be established in public kindergartens by region. The Jeju POE said it will push for a new special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ged 3 years of age to improve the welfare of disabled students. These classes will be establisehd in one public kindergarten in the eastern part of Jeju City, one in the eastern part of Seogwipo City, and two in Jeju City. The POE plans to deploy additional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to kindergartens where necessary. 권역별 공립유치원에 특수학급 신설 추진 권역별로 공립유치원에 장애유아를 위한 특수학급이 신설될 전망입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장애학생 복지 향상을 위해 만 3살 장애유아를 위한 특수학급 신설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특수학급은 제주시 동지역 공립유치원 1곳과 서귀포시 동지역 1곳 그리고 제주시 읍면지역 유치원 2곳에 설치될 전망입니다. 교육당국은 만 3살 장애유아가 배치된 병설유치원에는 특수교육 지원인력을 추가 배치할 방침입니다.
  • 2022.07.13(wed)  |  고주연
  • Province will Assess Participatory Budgeting
  • Province will Assess Participatory Budgeting The province will conduct a status check regarding participatory budget projects. A 13 member task force team will divide Jeju into four zones to assess Participatory Budgeting projects initiated for the past 3 years. Assessments will be done on planning, implementation, wasted budget and community contribution. The province will help to resolve issues and seek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assessment results. 최근 3년간 주민참여예산 사업 실태 점검 제주도가 주민참여예산제를 통해 시행된 사업들에 대해 실태 점검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13명으로 구성된 상설 모니터링단이 제주를 4개 구역으로 나눠 지난 3년 간 추진된 사업 현장을 방문해 점검합니다. 현장 방문에서는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됐는지를 비롯해 예산 낭비 요소는 없는지, 주민들에게 도움되는 사업인지 등을 살필 예정입니다. 제주도는 모니터링단 활동 결과를 토대로 주민참여예산 사업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할 방침입니다.
  • 2022.07.13(wed)  |  고주연
  • Recruitment for Jeju Mayor Extended
  • Recruitment for Jeju Mayor Extended Due to a low application rate, the recruitment for Jeju Mayor position has been extended. The Provincial Personnel Committee said it has extended the opening for the Mayoral position by a week, until the 18th. Due to a low rate of applicants, the hiring process has been extended to enable a more wider range of talents to apply. Meanwhile, applications for the Seogwipo Mayor position has closed as of the 11th and will have a count by the end of the week. 제주시장 공모기간 18일까지 연장…"응모 저조" 민선 8기 제주도정의 첫 번째 제주시장 공모 기간이 연장됐습니다. 제주도 인사위원회는 개방형 직위인 제주시장 공모 원서접수 마감 기한을 오는 18일까지로 일주일 연장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응모가 저조함에 따라 각계각층의 폭 넓은 인재 참여를 위해 공모 기간을 연장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제주시장과 함께 공모했던 서귀포시장은 11일 원서 접수를 마감했으며 우편접수까지 포함한 최종 응시 인원은 이번 주말쯤 확인될 전망입니다.
  • 2022.07.13(wed)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