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Inspections Held to Prevent Fires at Ports
  • Inspections Held to Prevent Fires at Ports The province will conduct safety inspections following fishing boat fires that occurred at (성산) Seongsan Port and (한림) Hallim Port. The province plans to inspect fire-fighting facilities on board ships and offer management tips for fishing boats mooring at the port until next month. Inspections will begin at highly concentrated ports including (성산) Seongsan and (한림) Hallim Ports where large-scale accidents are prone to happen and will be phased out to smaller ports. The province urges boat owners to be present during check ups for efficient role out of inspections. 제주도, 내달까지 항·포구 선내 소방시설 점검 최근 성산항과 한림항에서 어선 화재사고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제주도가 소방 안전 점검에 나섭니다. 이에따라 다음 달까지 도내 항.포구에 계류한 어선을 대상으로 선내 소방시설을 점검하고 소화시설 관리요령을 교육할 계획입니다. 점검은 성산항, 한림항과 같이 어선이 밀집돼 대형사고 확산 우려가 높은 항.포구를 시작으로 소규모 어항까지 단계적으로 진행됩니다. 제주도는 어선주가 동행하지 않을 경우 원활한 승선 점검이 어렵다며 점검 일정에 맞춰 어선주들의 동참을 주문했습니다.
  • 2022.07.13(wed)  |  고주연
  • AC Fire Hazard Caution
  • AC Fire Hazard Caution Outside a building, an outdoor air conditioner unit is found charred and its fan blades melted. The taped air conditioner wire has melted and broken apart. This is the site of an air conditioner fire at a house in (조천읍) Jocheon-eup, Jeju City. Across the nation, air conditioners have accounted for approximately 1,100 fires over the last five years. On Jeju, there have been about two cases reported annually. They happened in the summer season between the months of June and Augus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air conditioner fires from 2017 to 2021, electrical problems accounted for 75.4 percent of these fires. The main causes of fire are when water seeps into the wire connections, or when the connection becomes loose while the outdoor unit is in operation. This is an experiment conducted by the Jeju Fire Department. As the air conditioner runs, heat is detected at the splice point of the cord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units. Soon the temperature reaches 150 degrees Celsius and in an instant is in flames. The experiment shows that if the wires do not meet certain specifications,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units can overheat and catch fire. Fire department experts say that when installing an air conditioner, it is important to use wires that meet proper specifications, and that the connection should be firmly secured by using a compression sleeve. INTERVIEW Choi Yeong-du / Investigator, Jeju Fire Department As the connection becomes loose, heat is generated. Insulation tape or wires melt, causing a fire. You can use equipment such as wire sleeves or wire connectors to finish those connections safely. <인터뷰 : 최영두 / 제주소방안전본부 광역화재조사단 조사관> "(연결 부위가) 느슨해지면서 거기서 열이 발생하고 그 열로 인해서 절연 테이프나 전선이 녹으면서 화재가 종종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런 연결 부위 마감을 할 때 전선 (연결) 슬리브나 전선 커넥터 같은 기구를 사용하시면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As temperatures soar and air conditioner use spikes, it’s important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is essential, but not foolproof, piece of modern equipment in one’s home or business. 연일 무더위 속 에어컨 화재 '주의' 건물 밖 에어컨 실외기가 검게 그을리고 날개는 녹아내렸습니다. 테이프로 감아둔 에어컨 전선은 불에 녹아 끊어졌습니다. 제주시 조천읍의 한 주택에서 발생한 에어컨 화재 현장입니다. 최근 5년 사이 전국에서 발생한 에어컨 화재는 1천 1백여 건. 제주에서도 매년 2건 정도가 발생했는데, 여름철인 6월부터 8월 사이에 집중 발생했습니다. 지난 2017년부터 최근까지 발생한 에어컨 화재 원인을 분석한 결과 전기적 요인이 75.4%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75.4%) 전선끼리 꼬아서 연결해 둔 부분에 물이 묻거나 실외기가 돌아가며 연결 부위가 느슨해지면서 불이 나는 겁니다. 실제로 관련 실험을 진행해봤습니다. 에어컨이 작동되고 실내외기 연결 부분에 열이 감지됩니다. 얼마 후, 순식간에 섭씨 150도 씨까지 열이 오르며 불길이 치솟습니다. 실험 결과, 에어컨 실내외기 연결부의 전선 규격이 맞지 않을 경우 높은 열이 발생하면서 화재로 이어지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이에 따라 소방당국은 에어컨을 설치할 경우 반드시 규격에 맞는 배선을 사용하고, 전선 간 연결 부위는 압착슬리브를 사용해 단단히 고정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인터뷰 : 최영두 / 제주소방안전본부 광역화재조사단 조사관> "(연결 부위가) 느슨해지면서 거기서 열이 발생하고 그 열로 인해서 절연 테이프나 전선이 녹으면서 화재가 종종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런 연결 부위 마감을 할 때 전선 (연결) 슬리브나 전선 커넥터 같은 기구를 사용하시면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 폭염으로 인해 에어컨 사용량이 늘어나는 가운데 화재도 잇따르고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 2022.07.11(mon)  |  고주연
  • New PET Bottle Management Working
  • New PET Bottle Management Working The separation of discharged transparent PET bottles is gaining momentum.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year, Jeju City gained 246 million won worth of earnings with 422 tons of transparent PET bottle waste. Earnings have tripled from 127 tons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and the average daily collection reached 2.3 tons from 0.7 tons in the first half of last year. Clean houses now collect transparent PET bottles separately and in exchange offer recycling trash bags for returns that exceed a certain amount. 투명페트병 별도배출 '효과'…상반기 2억4천 수익 투명페트병 별도배출 시책이 조금씩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제주시는 올 상반기동안 투명페트병 422톤을 수거하고 이를 판매해 2억 4천 600만원의 수익을 거뒀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27톤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하루 평균 수거량도 지난해 상반기 0.7톤에서 최근에는 2.3톤에 이르고 있습니다. 제주시는 클린하우스마다 투명페트병 전용 수거함을 별도로 비치해 운영하고 있으며 일정물량 이상 갖고오면 종량제 봉투로 교환해주고 있습니다.
  • 2022.07.11(mon)  |  고주연
  • 70,000 Animals Released in the Sea
  • 70,000 Animals Released in the Sea Jeju Marine Fisheries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released 70,000 yellow corvina into water ways surrounding northern (관탈도) Gwantal Island and coastal waters around (고내) Gonae Port in Aewol-eup. Corvinas were released according to their spawning routes which spend winters in the southwest sea, migrate to the west coast from April to May, and south in the fall. Corvinas usually grow 20cm in 1 to 2 years of discharge. In terms of catch and sales, Yellow Corvina comes in second place to Hairtail and accounts for 30% of the Nation’s catch. 관탈도·애월 바다에 참조기 치어 7만 마리 방류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이 참조기 치어 7만 마리를 주요 이동경로인 북부해역 관탈도 주변과 애월읍 고내포구에 방류했습니다. 참조기는 제주 남서쪽 바다에서 겨울을 보내고 4~5월쯤 서해안에서 산란한 뒤 가을에 다시 남하하는 회유성 어종으로 이 같은 이동경로에 맞게 치어를 방류한 것입니다. 제주도는 방류한 지 1~2년 지나면 약 20cm까지 성장해 어업인 소득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편 참조기는 제주에서 갈치 다음으로 어획량과 위판액이 많고 지난해 기준 전국 참조기 어획량의 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2022.07.11(mon)  |  고주연
  • POE to Recruit 61 Cooks
  • POE to Recruit 61 Cooks The Jeju POE will openly hire approxoimately 60 public officials. The positions include 19 cooks and 42 cooking practitioner positions. The POE will include four hires from low-income families and one hire from Chujado Island. Anyone between the ages of 18 and 60 years of age is eligible to apply. Relevant licenses are required for cooks.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through the Jeju POE website and email from July 20-21. 도교육청, 조리사 2개 직종 61명 공개채용 제주도교육청이 교육공무직 60여 명을 공개 채용합니다. 채용 직종은 조리사 19명과 조리실무사 42명입니다. 교육청은 이 가운데 저소득층 4명과 도서 지역인 추자도에 1명을 구분해 선발할 예정입니다. 응시 자격은 만 18살 이상 60살 미만인 도민으로 조리사는 관련 면허를 보유해야합니다. 원서 접수는 오는 20일부터 21일까지 이틀동안 제주도교육청과 전자우편으로 접수 가능합니다.
  • 2022.07.11(mon)  |  고주연
  • High Competition for Public Officir Positions
  • High Competition for Public Officir Positions This year 927 people applied for 37 public officer positions with a competition rate of 11.8 to 1. The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showed the highest competition rate of 20 to 1 with 20 applying for 1 grade 7 position, and 14.8 to 1 for the social service center. Only 1 person applied for a Grade 7 post of the JPDC which had 2 openings. A written test will be held on the 30th that will include COVID-19 confirmed patients who apply in advance. 공공기관 통합채용 경쟁률 평균 11.8대 1 기록 제주도가 올해 공공기관 직원 통합채용에 따른 원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37명 선발에 927명이 지원해 평균 11.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모집 분야별로는 제주도개발공사의 경우 생산직 7급 1명 선발에 20명이 지원해 20대 1로 최고 경쟁률을 보였고 사회서비스원이 14.8대 1로 가장 낮았습니다. 개발공사 7급 제품생산과 물류관리 분야에는 2명 모집에 1명이 지원해 미달됐습니다. 필기 시험은 오는 30일 실시되며 코로나19 확진자도 사전 신청자에 한해 별도의 시험장이 마련될 예정입니다.
  • 2022.07.11(mon)  |  고주연
  • Safety Inspections Held At Ports
  • Safety Inspections Held At Ports With recent fires onboard ships, emergency safety inspections will be conducted at ports located in the province. Starting from August 12th, the Jeju Fire and Safety Headquarters will initiate inspections starting with 6 ports at Jeju Port and Halrim Port and later eventually will inspect 106 ports in the province. Plans include to immediately supplement facilities that are poorly managed. 소방본부, 도내 항포구 내 소방시설 긴급 점검 최근 항포구에서 선박화재가 잇따르면서 도내 모든 항포구내 소방시설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이 이뤄집니다. 제주소방안전본부는 다음달 12일까지 한달 동안 제주항과 한림항 등 선박들이 겹쳐 접안하는 항만 6개를 시작으로 도내 항포구 106개에 설치된 모든 소방시설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합니다. 조사 결과 시설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경우 즉시 설치 기관에 통보해 보완해 나갈 계획입니다.
  • 2022.07.11(mon)  |  고주연
  • Power Demand Hits Record High
  • Power Demand Hits Record High Energy demand has hit an all-time high with the sweltering heat. The Jeju Office of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announced that the energy demand in Jeju hit a record high surpasing 1,026,000 kilowatts as of 7 p.m. on the 7th. It also confirmed to be stable with a reserve of 171,000 kilowatts and reserve ratio of 16.7%. KPX also stated that early July is usually when demand reaches a record high due to heat waves and increased influx of tourists and that numbers are expected to increase during the summer season. 제주 전력수요 '최대치 경신'…예비율 16.7% '안정' 계속된 폭염에 제주지역 여름철 전력수요가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전력거래소 제주본부에 따르면 7일 저녁 7시 기준 제주지역 전력수요는 102만 6천 킬로와트로 최고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다만 공급 예비력은 17만 1천 킬로와트, 예비율은 16.7%로 수급은 안정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전력거래소는 최근 폭염과 관광수요 증가가 맞물려 이례적으로 7월 초에 최대전력 수요를 경신했다며, 올여름 기록 경신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 2022.07.11(mon)  |  고주연
  • Exhibition “Though, We Are in Love”
  • Exhibition “Though, We Are in Love” Clowns at rest. Calm. Their eyes closed. Seemingly in peace. They may look similar, but their differences come through, and fill the space. Though they are symbols of fun and cheer, their lonely hearts are on full display, stemming from their tired expressions and penetrating their colorful makeup. Blue waves rise against awhite background. Messages of comfort written by visitors create the blue sea beneath. This is a piece by the world-renowned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artist Yoko Ono. The artist asks the audience to leave, if they so choose, a message of hope for both minorities and for the artist herself, who also feels isolation. The exhibition “Though, We Are in Love” offers a rare opportunity for those in Jeju to enjoy the work of some famous contemporary artists. The works of art cover various media types by seven notable artists including (이배경) Lee Bae-gyeong, Yoko Ono and, Ugo Rondinone. The exhibi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visitors to think about the values of diversity and coexistence, and to focus on the stories of minorities living as strangers in unfamiliar lands. INTERVIEW Kim dong-hyeon / Museum Director The exhibition has the heavy theme of diaspora. We hope to find a way to erase the boundaries created by people moving, and to find a solution to empathize with and embrace the difficulties of isolated peoples, minorities, and migrants. The exhibition has put a lot of attention into the composition of the space. Areas for visitors to more fully participate with some of the artwork - such as with the five senses - are provided. This second special exhibition at the (포도) Podo Museum is on now, and will run until July of next year. 포도뮤지엄 기획전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 눈을 지긋이 감은채 깊은 휴식을 취하고 있는 광대들. 비슷한듯 각기 다른 모습을 한 고독의 존재들이 공간을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화려한 분장 뒤로 보이는 지친 표정에서 광대들의 외로운 마음이 전해집니다. 적막한 흰색 전시 공간에 푸른 물결이 일렁입니다. 관객들이 채워 넣은 위로의 메시지가 파란 바다를 만들어냅니다. 세계적인 설치미술가이자 행위예술가인 요코 오노의 작품입니다. 작가는 관객들에게 세상의 소수자와 소외감을 겪는 자기 자신에게 남기고 싶은 희망의 메시지를 자유롭게 남겨달라고 요구합니다. 제주에서는 좀처럼 만나보기 힘들었던 현대미술가들의 작품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한국의 이배경 작가부터 요코 오노, 우고 론디노네 등 7명의 주목받는 예술가들의 다양한 매체의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낯선 땅에서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소수자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다양성과 공존에 대한 가치를 되돌아보게 합니다. <인터뷰 : 김동현/포도뮤지엄 총지배인> 디아스포라라는 무거운 주제를 담고 있습니다. 사람이 이주를 하면서 만들어진 경계를 어떻게 지울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시작을 했고, 소외와 소수민, 이주민의 어려움을 서로 공감하고 포용하는 해결 방안을 찾는데…. 특히, 이번 전시는 공간 구성에도 많은 신경을 썼습니다. 다양한 설치 공간들을 통해 기존의 미술 전시 관람을 넘어 오감으로 교감하며 즐길 수 있는 참여형 전시 공간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감각적이고 개성있는 예술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는 포도뮤지엄의 두번째 특별 기획전. 이번 전시는 내년 7월까지 1년간 이어질 예정입니다.
  • 2022.07.07(thur)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