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Principal Accused, Authorities Inactive
  • Principal Accused, Authorities Inactive Allegations of bullying by a high school principal were formally brought forward last month through the National Public Complaints Center. It began when the principal insisted on the deletion of records related to incidents of school violence involving graduating students. A teacher, identified as Mr. A, who was responsible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argued that deleting the records would “be difficult” when considering the level of reflection and remorse shown by the students involved. In response, the principal requested explanations from homeroom teachers who opposed the deletion of school violence records, citing reasons of non-compliance with educational norms. The allegations against the principal don't stop there. A student who verbally abused a homeroom teacher and pushed another teacher responsible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received a transfer decision from the Teachers Rights Protection Committee. However, the principal rejected the decision, arguing it was an overly severe punishment, opting instead for a 10-day suspension. The dissatisfaction of the teacher involved wasn’t limited to the principal's actions, but also to the follow-up measures taken by the education authorities. After more than two weeks without any communication since officially raising the issue about the principal, the teacher said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only got in touch when the deadline for handling complaints was approaching. There are said to be other cases of affected teachers, leading to calls for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by the education authorities. However, the authority’s response was merely a request for the verification of facts. In response to this, a teacher spoke on the phone with KCTV Jeju, expressing disappointment with the education authorities' passive approach, one focusing on confirmed facts rather than conducting a proactive investigation. Local teacher organizations are urging the education authorities to actively investigate and take disciplinary action, claiming that repeated bullying has occurred at the school. The Jeju Branch of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has suggested that the principal and school staff members be immediately separated. The Union has also called for the removal of the principal from their position to ensu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ffected teacher. INTERVIEW Gang Dong-hyeon / Chairperson, Elementary Division, Jeju Branch of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Another semester has begun. If there are allegations of bullying, immediate separation is necessary to protect the victim. However, despite the new semester, victims are not being protected and are suffering from various inducements and threats. In response,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s repeatedly requested key information from the school and has indicated that it will assess the audit as the information becomes available. 학교장 갑질 의혹…뒷짐 진 교육당국 한 고등학교 학교장의 갑질 의혹은 지난 달 초에 정식 제기됐습니다. 국민신문고를 통해 학교장이 졸업 예정인 학교 폭력 가해 학생들에 대한 학폭 기록 삭제를 요구하면서부터입니다. 학폭 담당교사였던 A씨는 담임교사 등을 통해 가해 학생들이 반성 정도 등을 확인했을 때 학폭 기록 삭제는 어렵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해당 학교장은 비교육적이라며 학폭 기록 삭제를 원하지 않는 담임교사에게 사유서를 요구했습니다. 해당 학교장이 갑질 의혹은 이 뿐만이 아닙니다. 한 학생이 담임 교사에게 폭언을 퍼붓고 다른 학폭 담당교사를 밀쳐 교권을 침해한 이유로 교권보호위원회에서 전학 결정이 내려졌지만 학교장이 징계가 과하다며 결재를 반려해 결국 10일간의 출석 정지로 대체되기도 했습니다. 해당 교사가 분통을 떠뜨리는 건 학교장의 이런 행동 뿐만 아니라 교육당국의 후속 조칩니다. 정식으로 해당 학교장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지 보름이 지나도록 연락 한번 없다가 민원 처리 시한이 임박해서야 제주도교육청으로부터 연락을 받았습니다. 또 다른 동료 교사들의 피해 사례가 있다며 교육당국의 전수조사 요구에 되돌아온 답변은 사실 확인 요구가 전부였습니다. 이에 해당 교사는 KCTV제주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교육당국이 적극적인 확인 조사보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만 조치하려한다며 소극적인 행정에 서운하다고 토로했습니다. 도내 교원단체도 해당 학교에서 상습적인 갑질이 이뤄졌다며 교육청의 적극적인 조사와 징계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전교조 제주지부는 학교장이 교직원에게 비정상적인 지시를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학교장을 직위해제하는 등 피해 교사가 심리적으로 안전하게 근무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강동헌 / 전교조 제주지부 초등위원장 ] 당장 개학이 됐으면 가해 의혹이 있다면 분리조치가 되어야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을 텐데 개학됐지만 보호되지 않고 각종 회유나 협박에 시달리고 있어서... 이에 대해 제주도교육청은 해당 학교에 필요한 자료를 요구했다며 자료가 들어오는 대로 감사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라는 입장만 되풀이 하고 있습니다.
  • 2023.08.16(wed)  |  이현
  • Jeju City Recruiting for Care Services
  • Starting from this week, Jeju City is recruiting participants for their daily care services program, targeting middle-aged and young adults in need of caregiving support. The daily care services program allows individuals to choose from various types of services that match their specific circumstances, including caregiving and household assistance, meal and nutritional support, and accompanying them to medical appointments. Applicants must submit documentation demonstrating the need for caregiving, and upon selection, can enter into a contract with the registered service provider. 제주시, 일상돌봄 서비스 이용자 모집 제주시가 돌봄이 필요한 중장년과 청년들을 대상으로 일상돌봄 서비스 이용자를 이번주부터 모집합니다. 일상돌봄 서비스는 돌봄과 가사, 식사와 영양지원, 병원동행 등 본인이 처한 상황에 맞는 서비스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신청 대상은 돌봄 필요성을 증빙하는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대상자로 선정되면 등록된 서비스 제공기관과 계약을 맺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2023.08.14(mon)  |  이현
  • 2% Annual Interest Loan Support
  • In a bid to assist food hygiene establishments grappling with financial constraints for facility enhancements, Jeju City has initiated a program offering low-interest loans. Geared towards enterprises engaged in food service,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the program is designed to offer substantial aid. With an annual interest rate of 2%, it extends a maximum support of up to 70 million Korean won. Repayment spans 4 years, including a 1-year grace period followed by 3 years of equal installments. To apply, interested business owners should first confirm loan eligibility with a bank, then submit their loan application and business plan to Jeju City Hall's Hygiene Management Division. 제주시, 식품위생업소 연 2% 저금리 융자 지원 제주시가 시설개선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식품위생업소를 대상으로 저금리 융자 지원을 실시합니다. 이번 사업은 식품접객업소와 식품 제조, 가공업소 등을 대상으로 시행되며 이율은 연 2%로 최대 7천만원까지 지원됩니다. 상환기간은 4년이며 1년 거치 후 3년 균등분할 상환 조건입니다. 융자를 희망하는 업주는 사전에 은행에서 대출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융자금 신청서와 사업계획서를 제주시청 위생관리과에 제출하면 됩니다.
  • 2023.08.14(mon)  |  이현
  • Jeju's Service Sector and Retail Sales Drop
  • In the second quarter of this year, the Jeju region experienced the most substantial drop in service sector production and retail sales compared to any other part of the nation. Statistics Korea has reported that service industry production on Jeju Island witnessed a 1.7% decline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from the previous last year, marking the largest reduction among the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Furthermore, retail sales experienced a notable plummet of 7.4%, particularly in duty-free shops, marking the largest drop nationwide. This decline in both local retail sales and service sector production represents the first instance since the initial COVID-19 outbreak in the first quarter of 2021. Statistics Korea attributes the downturn in service sector production and retail sales to a reduction in domestic tourists visiting Jeju, possibly influenced by a surge in overseas travel. 제주 서비스업생산·소매판매 감소폭 '전국 최고' 올해 2분기 제주지역 서비스업생산과 소매판매가 전국에서 가장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제주도내 서비스업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7% 줄며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최대 감소폭을 보였습니다. 이와 함께 소매판매는 면세점을 중심으로 7.4% 감소하며 이 역시 전국에서 가장 큰 내림폭을 기록했습니다. 도내 소매판매와 서비스업 생산이 동반 감소한 건 코로나19 유행 시기인 2021년 1분기 이후 처음입니다. 통계청은 해외여행 증가로 제주를 찾는 내국인 관광객이 감소하면서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2023.08.14(mon)  |  이현
  • Oppose Reduction in Teacher Hiring
  • The government's decision to decrease the number of new teachers for the upcoming year has sparked a backlash from educational groups. The Ministry of Education recently announced its plans for next year's teacher recruitment. The plan entails hiring a total of 8,939 new teachers, including 297 for kindergartens, 3,108 for elementary schools, 3,907 for middle schools, and 75 librarians. This marks a reduction from the previous year, with 453 fewer elementary, 991 fewer middle school, and 125 fewer kindergarten teachers being hired. Consequently, new teacher appointments in the Jeju region will decrease by 116 compared to this year. In response, the Jeju branch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Educational Workers stated that three new schools are being established in Jeju. To ensure a high-quality education, they stressed the need for a stable teacher workforce and called fo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ppointments. 신규교사 선발 인원 감축에 교원단체 '반발' 정부가 내년 신규교사 선발 인원을 축소하자 교원단체가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교육부는 최근 사전 예고를 통해 내년 유치원 교사 297명, 초등 3천 108명, 중등 3천 907명, 사서 75명 등 모두 8천 939명의 신규 채용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해보다 초등은 453명이 줄었고 중등은 991명, 유치원은 125명이 감소한 규모입니다. 이에 따라 제주지역 선발 인원도 올해와 비교해 116명이 감소했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제주지부는 성명을 통해 제주에는 3개의 학교가 신설을 추진 중이고 질 높은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교사 정원 확보가 필요하다며 선발 인원 확대를 요구했습니다.
  • 2023.08.14(mon)  |  이현
  • April 3rd UNESCO Recognition Anticipated
  • With the conditional approval of the Korean review for UNESCO World Documentary Heritage status for the Jeju 4.3 Incident records, the bereaved families have welcomed the decision. The Jeju 4.3 Victims' Association conveyed their approval through a welcoming statement, highlighting the incident as a prominent exemplar of local residents' resilience against tragic state violence. They stressed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recognition through the UNESCO World Documentary Heritage status to acknowledge its historical significance. They also expressed hope for the swift inclusion of the April 3rd Incident records, given the limited number of surviving victims, to ensure its legacy as a UNESCO World Documentary Heritage. "4·3 기록물 유네스코 유산 등재 심의 통과 환영" 제주4.3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한국 심의를 조건부로 통과한 가운데 유족회가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제주 4.3 희생자유족회는 환영문을 통해 제주 4.3은 도민의 힘으로 국가폭력을 극복하고 해결해 낸 선도적인 모범 사례라며 평화적 가치를 국제적으로 공인 받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현재 생존해 있는 4.3 희생자가 1백여 명에 불과하다며 4.3 기록물이 서둘러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에 등재되길 소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 2023.08.14(mon)  |  이현
  • Reports on Typhoon Crop Damage
  • With a string of crop damages caused by Typhoon Khanun, the process for reporting damages is set to begin this week. Commencing this week, Jeju Island will be accepting reports of crop damages resulting from typhoon Khanun, through administration offices for the next ten days. Once the reported crop damages are assessed on-site, disaster relief funds will be allocated accordingly. Furthermore, the preliminary effects of the typhoon have led to the submergence and wind-related damage of crops, spanning approximately 158 hectares. The areas most significantly impacted are concentrated in the eastern regions, specifically in locations such as (구좌읍) Gujwa-eup, affecting crops like carrots and beans. 농작물 태풍 피해 신고 이번 주부터 접수 태풍 카눈으로 농작물 피해가 잇따라 발생한 가운데 이번 주부터 피해 신고가 이뤄집니다. 제주도는 이번 주부터 열흘동안 읍면동사무소를 통해 농작물 태풍 피해 신고를 접수할 계획입니다. 접수된 피해 농작물에 대해서는 현장 확인을 거쳐 재난 지원금이 지급될 방침입니다. 한편, 현재까지 이번 태풍으로 구좌읍 등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당근과 콩 등 158ha에서 침수와 조풍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습니다.
  • 2023.08.14(mon)  |  이현
  • Jeju To Harvest Green Unripe Tangerines
  • Jeju To Harvest Green Unripe Tangerines These are green unripe tangerines that have yet to turn color. From now through mid-September, the main harvest season for green unripe tangerines is underway. Green unripe tangerine producers are subject to strict pesticide residue testing, so you can safely eat them with the peel. INTERVIEW Lee Hyo-jin / Representative, Jeju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 These tangerines have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due to their flavonoid content, which is about double. It's better to consume them with the peel. Just wash them with a mixture of water and vinegar or baking soda, remove the stem, and eat. <인터뷰 : 이효진/제주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2배 정도 높아 기능성이 풍부한 귤입니다. 과육만 먹기보다는 껍질째 먹는 것이 성분을 온전하게 드실 수 있어서 물에 식초나 베이킹소다를 넣어 세척하신 후 꼭지를 제거하고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When you grind them up, peel and all, and add sugar, you can make a delicious green unripe tangerine syrup. This homemade tangerine syrup can be used in beverages, marinades, and various dishes. INTERVIEW Moon Seok-min / Representative, Tangerine experience farm Not many people know about green unripe tangerines. Nowadays, many mistakenly think they're fully ripe green tangerines. Trying green unripe tangerines and making them yourself gives a greater sense of accomplishment. <인터뷰 : 문석민/풋귤 체험농가 대표> 풋귤 같은 경우는 아시는 분들만 아시더라고요. 요즘 청귤이라고 많이 잘못 알려져 있긴 한데 풋귤을 체험하시고 직접 만드시니까 더 성취감 그런게 더 크신 것 같고... Thanks to its many uses and unique aroma, there's a consistent consumer base seeking out green unripe tangerines. However, in the last 3 years, shipments have decreased by about half. Due to low profitability, bulk purchases of green unripe tangerines by major companies and agricultural cooperatives have declined significantly. In this situation, farms are focusing on securing markets through green unripe tangerine experience farms and processing. While overall shipments are on the decline, individual distribution is up. This year's target shipment for green unripe tangerines is 1,500 tons. Farm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open up new markets. Although still unfamiliar to many consumers, green unripe tangerines could become a new source of revenue for Jeju's farmers as they grow both in the orchards and in popularity. Todd Thacker, KCTV "풋귤 맛보세요"…9월 15일까지 출하 노란색으로 영글기 전 아직 초록이 싱그러운 풋귤입니다. 이달부터 시작돼 다음달 중순까지인 풋귤 출하기간을 맞아 본격적인 수확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풋귤 생산 농가에 대해서는 깐깐한 잔류농약 검사가 이뤄지기 때문에 안심하고 껍질째 먹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 이효진/제주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2배 정도 높아 기능성이 풍부한 귤입니다. 과육만 먹기보다는 껍질째 먹는 것이 성분을 온전하게 드실 수 있어서 물에 식초나 베이킹소다를 넣어 세척하신 후 꼭지를 제거하고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껍질까지 갈아 만든 과즙에 채썬 풋귤을 설탕에 절여 담아주면 기능성 성분이 풍부한 풋귤청이 완성됩니다. 이렇게 만든 풋귤청은 음료나 양념장, 다양한 음식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인터뷰 : 문석민/풋귤 체험농가 대표> 풋귤 같은 경우는 아시는 분들만 아시더라고요. 요즘 청귤이라고 많이 잘못 알려져 있긴 한데 풋귤을 체험하시고 직접 만드시니까 더 성취감 그런게 더 크신 것 같고... 다양한 기능성 성분과 독특한 향 덕분에 풋귤을 꾸준히 찾는 소비자층이 있지만 출하량은 아쉽게도 3년 전에 비해 절반이나 줄었습니다.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대기업과 농협의 풋귤 대량 구매가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 속에 농가들은 풋귤 체험 농장 운영이나 가공으로 판로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전체 출하량은 줄고 있지만 개별유통량은 점차 늘고 있는 이윱니다. 올해 풋귤 출하 목표량은 1천500톤으로 농가에서는 소비자들을 잡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아직은 소비자들에게 생소한 풋귤이 대중화를 통해 새로운 소득원은 물론 감귤 생산량 조절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 2023.08.14(mon)  |  이현
  • Island of Golden Melodies
  • Island of Golden Melodies In a darkened performance hall, soft golden melodies resonate through the air. Audience members at the venue are enchanted by the melodies and forget about the heat wave. This is a performance by Samsan Elementary School's wind orchestra. The 28th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Festival has begun in earnest. Running until the 15th, performances will take place at various locations around the island, including the Jeju Culture and Art Center, the Jeju Arts Center, Seogwipo Arts Center, and Jeju Seaside Arts Center. On the first day of the festival, a contest was held featuring youth wind orchestras made up of under 13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VIEW Lin Ku Wei / Wind orchestra member, Jiankang Elementary, Taipei, Taiwan I practiced a lot during the vacation, and I hope I get good results here in Jeju. Even during the vacation period, they've sweated and practiced hard in preparation for this contest. INTERVIEW Lee Da-eun / Member, Samhwa Resonance Wind Orchestra I practiced diligently with my friends for three hours every day during the vacation. I'm quite nervous because I don't want to miss out on any awards. INTERVIEW Lee Jae-won / Conductor, Ido Wind Orchestra The number of new members reached about 40, so we started practicing very early this year. Despite the hot summer weather during the vacation, we came out almost every day and continued practicing little by little. Held alongside the contest, the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Festival is the largest in its history, with 79 teams from 14 countries and over 4,200 musicians. In particular, on Aug. 9 at the Jeju Culture and Art Center, events like Spain Day will take place, offering daily performances by top musicians from around the world. Additionally, the My Town Wind Ensemble Festival, which visits Jeju's landmarks and culturally overlooked areas, will take place throughout the performance period, filling Jeju's summer nights with golden melodies. 28회 국제관악제 개막..."금빛 선율 가득" 어둠이 내려앉은 공연장에 부드러운 금빛 선율이 울려 퍼집니다. 공연장을 찾은 관람객들은 관악 선율에 취해 더위도 잊어버립니다. 삼양초등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삼양윈드 오케스트라의 공연입니다. 올해 28회째를 맞는 제주국제관악제가 시작됐습니다. 오는 15일까지 제주문예회관과 제주아트센터, 서귀포예술의전당, 제주해변공연장 등 곳곳에서 열립니다. 관악제 첫날에는 13살 이하 국내외 청소년 관악 밴드들이 참여하는 경연대회가 열렸습니다. [린 쿠 우웨이 / 타이페이 지엔캉초등학교 관악단 단원] 방학동안 많은 연습을 했고 이번에 제주에 와서 좋은 성적을 냈으면 좋겠습니다. 방학 기간이지만 이번 경연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며 호흡을 맞춰왔습니다. [이다은 / 삼화 소리울림 윈드 오케스트라 단원] 방학 동안에 친구들과 3시간씩 열심히 연습했는데 상을 못탈까 봐 굉장히 떨려요. [이재원 / 이도 윈드 오케스트라 지휘자] 신입 단원들이 40명 정도가 되어서 올해는 굉장히 일찍부터 연습을 시작했고 여름 방학 무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거의 매일 나와서 조금씩이라도 연습을 계속했습니다. 관악경연대회와 함께 진행되는 제주국제관악제는 역대 최대 규모인 세계 14개국 79개 팀, 4천200여 명의 뮤지션이 참여합니다. 특히 오는 9일 제주문예회관에선 스페인의 날 행사가 열리는 등 매일 세계 유수의 뮤지션이 참여하는 공연이 펼쳐집니다. 이밖에도 제주의 명소와 문화 소외 지역을 찾아가는 우리동네관악제가 공연기간 내내 펼쳐지며 제주의 한 여름 밤을 금빛 선율로 채우게 됩니다.
  • 2023.08.10(thur)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