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Real Estate Market Takes a Downturn
  • Apartment sales took another downturn this month due to the sluggish economy. According to the Korea Housing Institute, the local apartment pre-sales outlook index for this month is 70.6, a decrease of 16.9 points compared to a month ago, showing the second-highest drop in the country after (전북) Jeonbuk. The apartment pre-sales outlook is expected to decline again due to regional economic concerns and recent fraudulent lease scams, which have discouraged local apartment purchases by gap investors. 경기 침체에 아파트 분양전망 '하락세 전환' 제주지역 아파트 분양 경기가 이달 들어 다시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도내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70.6으로 한 달 전과 비교해 16.9포인트 떨어지며 전북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하락폭을 보였습니다. 지방경기 침체 우려와 최근 전세사기 여파로 실수요자가 아닌 갭투자자들의 지방 아파트 구매동기가 위축되면서 아파트 분양 전망이 재차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 2023.05.15(mon)  |  이현
  • Jeju Community Complex Starts Construction
  • Development on a community complex has begun in earnest, starting with the demolition of the building this month and is planned to be completed by 2026. With an investment of 38 billion won, a complex cultural space will be created with a total floor area of 11,000 square meters, and will include a public library, a national sports center, a family center, and a health support center. Jeju City also plans to establish an exhibition space within the facility to preserve historical data and the surrounding areas. 제주시민회관 복합화 시 제주시민회관의 생활 복합화 조성사업이 본격 추진됩니다. 제주시는 시민회관 건축물 해체를 시작으로 2026년 준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합니다. 사업비 380억원을 투입해 지하 2층, 지상 6층 연면적 1만 1천제곱미터 규모로 공공도서관과 국민체육센터, 가족센터, 건강생활지원센터 등의 복합문화 공간이 조성됩니다. 제주시는 시민회관 일대와 역사적 자료 보존을 위해 시설 내에 전시 공간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 2023.05.15(mon)  |  이현
  • Jeju City Catches 35 Illegal Accommodations
  • Jeju City has caught 35 cases of unreported accommodations through joint crackdowns with police forces, tourism associations, and related agencies until last month. Unregistered accommodations that were illegally operating through online platforms were identified. Of 35 cases, 19 were reported to the authorities and 16 were subject to administrative guidance. Jeju City plans to carry out a concentrated joint crackdown on unregistered accommodations for two months until July 14 in preparation for the summer peak season. Owners who illegally operate accommodations may face up to two years of imprisonment or a fine of up to 20 million won. 제주시, 미신고 불법 숙박업소 35건 적발 제주시가 올들어 지난달까지 자치경찰단과 관광협회와 미신고 불법 숙박업소에 대한 합동단속 결과 35건을 적발했습니다. 적발된 업소들은 숙박업소로 신고하지 않고 온라인 공유숙박 플랫폼을 이용해 불법 영업한 경우로 19건은 고발조치됐고 16건에 대해서는 행정지도가 이뤄졌습니다. 제주시는 여름철 성수기에 대비해 7월 14일까지 두 달 동안 미신고 숙박업에 대한 집중 합동단속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한편 미신고 숙박업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 2023.05.15(mon)  |  이현
  • Only 5% Consider Jeju Investment
  • Only 5 percent of metropolitan companies are considering investment in Jeju.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Korea Industrial Research Institute on 159 companies located in Seoul, 28.9% are considering moving or expanding their business to non-metropolitan areas within the next five years. Among regions considered for investment, (충청) Chungcheong Province had the highest percentage at 51.4%, while Jeju was the second lowest at 5.4%, just above (강원) Gangwon Province. The surveyed companies also listed tax benefits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policies that help facilitate relocation to non-metropolitan areas. "제주 투자 고려" 수도권 기업 5% '찔끔' 제주에 투자를 고려하는 수도권 기업이 5%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연구원이 최근 수도권 기업 159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28.9%가 5년 내 비수도권 이전 혹은 신증설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비수도권 투자 고려 대상 지역으로는 충청권 51.4%로 가장 높았으며 제주는 5.4%로 강원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습니다. 이와 함께 응답기업들은 비수도권 이전에 도움이 되는 정책으로 세제 혜택과 중앙·지방정부의 행정 지원 등을 꼽았습니다.
  • 2023.05.15(mon)  |  이현
  • Controversy Over Reduction on Education Budget
  •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s sparked controversy over budget cuts for support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Members of the Education Committee of the Jeju Provincial Council criticized education authorities for eliminating accessibility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from the budget of 17 billion won which already was reserved for such purpose. In response, the education authorities stated that when an item is classified as a reserve fund during the budget review process, it is the same as being canceled. The POE also explained how there are many administrative challenges when an item is classified as a ‘reserve fund’. 제주종합교육지원센터 매입 예산 '전액 삭감' 논란 제주도교육청이 특수교육 장애 학생들을 위한 제주종합교육지원센터 매입 예산을 전액 삭감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의원들은 지난 본예산 예산 심사과정에서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관련 예산 170여 억 원을 유보금으로 결정했지만 이번에 제출된 추경안에는 관련 예산이 전액 삭감됐다며 교육당국을 질타했습니다. 이에 대해 교육청은 당시 예산 심사과정에서 매입 안건이 유보금으로 분류되자 사실상 매입이 무산된 것으로 봤다며 특히 기금 등이 아닌 유보금으로 분류될 경우 예산을 집행하는데 행정절차에도 문제가 많다고 답변했습니다.
  • 2023.05.15(mon)  |  이현
  • Jeju Lowers the Measures for COVID-19
  • As the government adjusts the COVID-19 crisis level from serious to cautious, Jeju Island also takes follow-up measures. For hospitalization and treatment of confirmed cases, 10 beds in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hich are designated as permanent beds for severe patients, will be utilized. In addition, for mild cases, the 150 self-quarantine beds that have been secured will be operated and gradually transitioned to the general medical system. For PCR tests focusing on high-risk groups, 13 screening clinics including public health centers will continue to operate. This support system that offers 166 one-stop clinics capable of diagnosing, treating, and prescribing for COVID-19 patients will be maintained. 제주도, 코로나 위기단계 하향 후속 조치 정부가 코로나19 위기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하면서 제주도도 후속조치에 나섭니다. 확진자 입원치료를 위해 중증 환자는 상시병상으로 지정된 제주대학교병원 10병상을 활용합니다. 또한 경증환자는 현재 확보된 자율격리병상 150병상을 운영하면서 점차 일반의료체계로 전환합니다. 고위험군 중심의 PCR 검사 시행을 위해 보건소를 비롯한 13개소의 선별진료소를 그대로 운영합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확진자 진단과 치료, 처방이 가능한 원스톱 진료기관 166개소 운영 역시 현재 지원 체계를 유지합니다.
  • 2023.05.15(mon)  |  이현
  • Debt After 40 Months of Pandemic
  • Debt After 40 Months of Pandemic The local economy has greatly struggled due to the pandemic. Last year, the average household income in Jeju increased by 14.5 percent compared to 2019, reaching 62.2 million won, despite the impact of COVID-19. However, while salary workers’ income increased by 16.4 percent, income from operating a business only saw a modest growth of 2.1 percent. This indicates that self-employed individuals were hit hard during the pandemic, experiencing significant challenges. INTERVIEW Clothing store owner Sales have decreased by almost 80% since the onset of COVID-19. I’ve considered closing my business for 3 years, but this business is the only thing I can do. With the increase in government support such as disaster relief funds, the income from subsidies has significantly surged, rising by 41.6 percent. Amid increased capital liquidity through the cash support, prices have continued to skyrocket due to the combination of rising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imbalances between supply and demand for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The consumer price inflation rate, which was only 1.3 percent in January 2020, skyrocketed to 7.4 percent for two consecutive months from June last year, marking the highest level since the IMF financial crisis. While the COVID-19 state of emergency has finally come to an end,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local economy that has been struggling while accumulating debt to survive. The delinquency rate for household loans in local deposit banks increased from 0.38 percent in January 2020 to 0.57 percent in February 2023. Similarly, the delinquency rate for corporate loans also rose from 0.29 percent to 0.34 percent during the same period. During the pandemic, household and corporate loans increased. The heavier repayment burdens from rising loan interest rates have been attributed to the situation. The increasing delinquency rates, particularly in conjunction with high inflation and declining asset prices, are becoming concerning factors that can restrict private consumption and potentiall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ocal economy. It is expected that support measures such as loan maturity extensions and repayment deferments will also come to an end this September. INTERVIEW Ko Bong-hyeon / Jeju Research Institute Indeed, it is crucial to not only respond to crises but also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system that can manage crisis response and recovery processes. Although COVID-19 came to an end after 3 years and 4 months, the warning signs are on for the local economy from debt burden and weakened consumption. 코로나 40개월, 남은 건 '빚' 코로나19로 인해 제주경제는 크게 휘청였습니다. 지난해 도내 가구의 경상소득은 6천200만원으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14.5% 늘었습니다. 다만 근로소득이 16.4% 증가하는 동안 사업소득은 2.1% 늘어나는 데 그치며 코로나 시기 자영업자들의 타격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 옷가게 업주> (코로나 이후 매출이) 체감상 거의 80% 정도 줄었다고 느끼거든요. 3년 동안 장사를 접을까 말까 하다가도 하는 게 이 일이니깐… 재난지원금 등 정부 지원이 늘면서 이전소득은 41.6% 급증했습니다. 현금성 지원으로 유동성이 증가한 가운데 국제유가 상승과 농축산물 수요 불균형이 겹치면서 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갔습니다. 2020년 1월 1.3%에 불과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6월부터 두 달 연속 7.4%까지 치솟으며 IMF 외환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 비상사태가 마침내 종료됐지만 빚을 내며 근근이 버텨왔던 지역경제는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 도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2020년 1월 0.38%에서 지난 2월 0.57%로 뛰었습니다. 같은 기간 기업대출 연체율도 0.29%에서 0.34%로 상승했습니다. 코로나를 겪는 동안 가계와 기업의 대출이 늘어난 가운데 고금리 상황이 맞물리면서 상환 부담이 커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연체율 상승은 고물가, 자산가격 하락과 맞물려 민간 소비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제주경제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설상가상 대출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등의 지원 조치도 오는 9월 종료될 예정입니다. <인터뷰:고봉현 / 제주연구원 연구위원> 그냥 위기만 대응하는 게 아니라 위기가 왔다가 끝나면 그거를 회복하는 그런 과정에서의 종합적인 위기 대응과 회복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코로나19가 3년 4개월 만에 종식됐지만 빚 부담과 소비 위축에 제주경제의 경고음은 되레 커지고 있습니다.
  • 2023.05.15(mon)  |  이현
  • Jeju City Provides TV for Disabled in Need
  • Jeju City is distributing televisions for visually and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These specialized televisions come with customized menus and functions, including subtitles, screen adjustments, and sign language broadcasts, to make them more accessible for individual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Target recipients are individuals registered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s visually or hearing impaired, or those with visual or hearing disabilities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Veterans Affairs Office, and will be selected based on their disability level and age. Those who wish to apply for the TVs can do so at their local community center or online by May 26th. 제주시, 시·청각 장애인 전용 TV 보급 제주시가 시각 청각 장애인용 TV를 보급합니다. 시각.청각 장애인 전용 TV는 자막과 화면, 수어 방송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메뉴와 기능이 탑재돼 있는 일체형 TV입니다. 신청 대상은 보건복지부 등록 시각.청각 장애인 또는 국가보훈처 등록 눈, 귀 상이등급자로 장애 정도와 연령 등을 고려해 우선순위에 따라 선정됩니다. 신청을 희망하는 대상자는 오는 26일까지 읍면동 주민센터나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됩니다.
  • 2023.05.11(thur)  |  이현
  • Crackdown on Illegal Activities in Mt. Halla
  • The management office of Hallasan National Park is conducting a special crackdown on illegal activities within the Hallasan area. The main targets of the crackdown are unauthorized entry into non-trekking routes, illegal collection of flora and fauna, handling of flammable materials such as smoking and cooking. A total of 36 personnel from four teams will be dispatched to 32 vulnerable areas, and drones will be utilized to patrol area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Anyone Caught engaging in illegal activities within Hallasan will be fined up to KRW 2 million. 한라산 내 불법행위 특별단속…드론 투입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가 한라산 내에서의 불법행위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섭니다. 주요 단속 대상은 비탐방로 무단 입산과 임산물의 불법 굴취나 채취, 흡연, 취사 등 화기물 취급행위 등입니다. 4개반에 36명이 취약지역 32개소에 투입되며 단속용 드론을 활용해 접근이 어려운 지역까지 순찰합니다. 한라산에서 불법행위를 하다 적발될 경우 최고 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2023.05.11(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