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New rule doubles distance between tobacco shops to 100m
  • 5. New rule doubles distance between tobacco shops to 100m Tobacco retailer applications from July 13th subject to new policy Newly established tobacco shops should stand at least 100 meters apart from other tobacco shops starting July 13th, doubling current legal distance. The provincial government has made a formal announcement to revise policies for tobacco retailers on Wednesday. The revised rules state that tobacco retailers newly submitting applications for establishment after July 13th should be set more than 100 meters away from other retailers. Buildings with more than 6 floors and larger than 2,000 square meters are now no longer exempt and must follow the revised rules. 담배소매점 지정 제한거리 100m로 확대 담배소매인 지정 제한 거리가 50미터에서 100미터로 확대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담배소매인 지정 기준 규칙'을 개정해 공포했습니다. 30일간의 유예기간이 지나는 다음달 13일부터 적용되며 신규로 담배소매인 지정을 신청할 경우 기존 업체와 100m 이상 떨어져야 가능합니다. 또 그동안 담배소매점간 거리제한을 받지 않았던 6층 이상 연면적 2천 제곱미터 이상의 건축물도 이번 규칙 개정 내용을 적용받게 됩니다.
  • 2019.06.13(thur)  |  김동국
  • Namwon-eup selected as candidate site for Ramsar Wetland City
  • 4. Namwon-eup selected as candidate site for Ramsar Wetland City Mulyeongari Oreum recognized for its value Namwon-eup, home to the wetlands of Mulyeongari Oreum was chosen as one of the final candidate sites for Ramsar Wetland City. According to Seogwipo Municipal City officials, Namwon-eup was selected as a final candidate site for the Ramsar Wetland City. It got high scores in all 10 criteria of an on-site assessment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Wetlands Center in Ma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lans to submit an application of certification to the Independent Advisory Committee of the Wetland City Accreditation of the Ramsar Convention on October. Once the site selection is finalized, a certificate will be issued in 2021. The wetlands of Mulyeongari Oreum is the fifth ramsar wetland registered in the country and has been recognized for its value. 남원읍, 람사르 습지 도시 후보지 선정 물영아리 오름 습지가 있는 서귀포시 남원읍이 람사르 습지도시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습니다. 서귀포시에 따르면 환경부와 국립습지센터 등이 지난 5월 남원읍에 대한 현장평가를 실시한 결과 인증기준 10개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해 후보지로 선정됐습니다. 환경부는 오는 10월 람사르협약 사무국 독립자문위원회에 인증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며 최종 선정되면 2021년 인증서를 받게 됩니다. 한편 물영아리 오름 습지는 국내에서 5번째로 람사르습지로 등록돼 보전가치를 인정받은 바 있습니다.
  • 2019.06.13(thur)  |  김동국
  • Former First Lady Lee Hee-ho dies June 10
  • 3. Former First Lady Lee Hee-ho dies June 10 Memorial altars set up in Jeju and Seogwipo City Islanders have paid their respects at the memorial altar for former First Lady Lee Hee-ho, the wife of South Korean President Kim Dae-jung. She died on June 10th aged 96. The Jeju branch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organized memorial altars on June 12th to receive public condolences over a two-day period. The memorial altars were set up at the local office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in Jeju City and the party’s committee office in Donghong-dong, Seogwipo City. 故 이희호여사 제주분향소 추모발길 이어져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인 이희호 여사가 향년 97세를 일기로 타계하자 제주에서도 추모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은 13일까지 이희호 여사의 분향소를 운영하기로 하고, 조문객을 받고 있습니다. 분향소는 제주시는 연삼로변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당사에, 서귀포시는 동홍동 민주당 서귀포시 지역위원회 사무실에 각각 마련됐습니다.
  • 2019.06.13(thur)  |  김동국
  • Over 130,000 sign petition requesting execution of Koh Yu-jeong
  • 2. Over 130,000 sign petition requesting execution of Koh Yu-jeong Government to officially reply with more than 200,000 participants In related news, more than 130,000 people have joined a public petition asking national government to put Koh Yu-jeong on death row. Ms. Koh is a 36-year-old woman who have been alleged to have killed her ex-husband. The petition was posted on June 7th by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victim. The petition requests the court to impose a death sentence to Koh to show law-and-order. Cheong Wa Dae and the government are required to give an official answer to petitions signed by more than 200,000 people. '고유정 사형' 국민청원 13만명 넘어 전 남편 살해 피의자 고유정을 법정 최고형인 사형에 처해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 참여 인원이 13만명이 넘습니다. 지난 7일 피해자 유족이 작성한 청원 글에는 최초 게시된 지 엿새 만인 오늘(13일)까지 약 13만 명이 동의했습니다. 청원 글을 올린 피해자 유족은 고유정에게 법정 최고형인 사형을 선고해 법의 준엄함을 보여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국민청원 참여자가 20만명을 넘어서면 청와대와 정부는 공식 답변하도록 돼 있습니다.
  • 2019.06.13(thur)  |  김동국
  • Jeju murder suspect’s spouse scrutinized by police
  • 1. Jeju murder suspect’s spouse scrutinized by police Step son of Koh Yu-jeong was found dead in March The police are investigating possible connections between the recent deaths of Koh Yu-jeong's ex-husband and her stepson. According to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Cheongwon Police Station in Cheongju City will soon dispatch a team to investigate the death of her stepson who was 4-year-old. The Cheongwon police officers will cooperate with the local police to investigate Koh’s current husband surnamed Kang’s involvement in the murder. Koh’s stepson was found dead at an apartment in Cheongju City this March. There was no sign of external injuries in his body. The National Forensic Service revealed autopsy results that the cause of death was asphyxiation. 고유정 의붓아들 사망사건 재수사 전 남편 살인사건이 검찰로 송치된 가운데 지난 3월 발생한 고유정의 의붓아들 사망사건에 대한 수사가 이뤄집니다. 제주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청주상당경찰서는 조만간 수사팀을 제주로 보내 고유정의 의붓아들 사망사건에 대한 수사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제주청과 조사일정을 잡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고유정의 현 남편에 대한 조사도 이뤄질 전망입니다. 특히 의붓아들 사망 사건과 이번 전 남편 살인사건에 대한 연관성도 조사하게 됩니다. 4살된 고유정의 의붓아들은 현 남편이 전처와 낳은 아이로 지난 3월 청주 아파트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발견 당시 아이 몸에서 타살을 의심할 만한 특별한 외상은 없었고 국과수는 질식해 숨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부검소견을 내 놓은 바 있습니다.
  • 2019.06.13(thur)  |  김동국
KCTV News7
00:31
  • Province conducted special inspection on 5 local ferries
  • 6. Province conducted special inspection on 5 local ferries Safety, facility and service quality checked The province conducted a special inspection on five ferries travelling between Gapado Island and Marado Island from this Monday to Wednesday. The inspection focused on checking for safety, facilities for disabled passengers, customer service and etc. The number of ferry passengers traveling between Gapado Island and Marado Island increased by 19% to 501,000 from the beginning of this year through April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가파도·마라도 운항 여객선 특별점검 제주특별자치도가 가파도와 마라도 항로를 운항하는 여객선 5척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합니다. 주요점검내용은 승하선 시설과 선박 내부 편의시설 안전상태,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 불친절 사례 등입니다. 올들어 지난 4월까지 가파도와 마라도 항로를 운항하는 여객선 이용객은 50만 1천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증가했습니다.
  • 2019.06.12(wed)  |  김동국
  • Province to repair neglected coastal facilities
  • 5. Province to repair neglected coastal facilities 9 unattended coastal guard posts to be removed The province announced plans for repairing and removing coast facilities that have fallen into disrepair, after KCTV reporter Moon Su-hee covered it. The old coastal decks and safety facilities on the coasts of Aewol-eup and Woljeong-ri, Hado-ri and Haengwon-ri in Gujwa-eup will be repaired through July. The province will also work with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to remove nine coastal guard posts that have been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흉물로 변한 해안가 시설물 정비 추진" 최근 KCTV 기동취재팀이 지적한 흉물로 변한 해안가 시설물과 관련해 제주특별자치도가 일제 정비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다음달까지 구좌읍 월정과 하도, 행원 그리고 애월읍 해안에 설치된 노후 해안데크와 안전시설을 보수합니다. 또 제주지방경찰청과 협의해 해안가에 장기간 방치되고 있는 해안초소 9곳을 철거하기로 했습니다.
  • 2019.06.12(wed)  |  김동국
  • Gyeonggi-do governor apologizes to islanders
  • 4. Gyeonggi-do governor apologizes to islanders Jeju wrongfully accused for compressed waste in Pyeongtaek Port Gyeonggi-do Province Governor Lee Jae-myung apologized to the islanders and Governor Won Hee-ryong for wrongfully accusing Jeju as the origin of compressed waste on Tuesday. Governor Lee posted a message on Facebook saying that since the waste was collected and processed promptly by Gyeonggi-do provincial officials, the origin of the waste at Pyeongtaek Port could not be identified. Lee had previously accused Jeju of being the source of the waste last March, and demanded compensation. However, a field investigation later revealed that none of the waste at Pyeongtaek Port was from Jeju. 이재명 지사, "제주산 쓰레기 없어…공식 사과" 경기도 평택항에 제주산 압축쓰레기가 없는 것이 확인된 가운데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사과했습니다. 이재명 지사는 11일 오후 자신의 SNS를 통해 제주산 폐기물이라고 언급한 지난 글로 인해 마음의 상처를 받은 제주도민과 원희룡 지사에게 정중하게 사과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지사는 지난 3월 필리핀에서 경기도 평택항으로 반송된 압축쓰레기가 제주산이라며 구상권을 처리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장 조사결과 제주산 쓰레기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2019.06.12(wed)  |  김동국
  • South African man caught smuggling cannabis at Jeju Int’l Airport
  • 3. South African man caught smuggling cannabis at Jeju Int’l Airport Prosecutors focus on finding domestic distribution channel A South African man in his 50s was caught smuggling a suitcase with 20 kilograms of cannabis into the island. According to the Jeju Customs and local prosecutors office, the man was caught carrying cannabis when he arrived at Jeju Int’l Airport on June 2nd. This is the largest seizure yet of the drug on Jeju, enough to dose 30,000 people. The local customs office found the suitcase during security screening and sent it to the Jeju District Public Prosecutor’s Office. Prosecutors are focusing on finding the domestic distribution network. 제주공항서 대마초 20kg 밀반입 시도 적발 제주공항을 통해 다량의 대마초가 밀반입하려다 적발돼 당국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제주세관과 검찰에 따르면 지난 2일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적의 50대 남성이 제주공항으로 입국하면서 소지한 수하물 가운데 대마초 20kg이 담긴 여행가방이 적발됐습니다. 적발된 대마초는 3만명이 한꺼번에 흡입할 수 있는 양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알려졌습니다. 제주세관은 수하물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여행용 가방의 대마초를 발견해 제주지검으로 송치했으며 검찰은 이 남성과 접촉하기로 한 국내 판매책을 찾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2019.06.12(wed)  |  김동국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