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South African man indicted for smuggling 20kgs of cannabis
  • 4. South African man indicted for smuggling 20kgs of cannabis Prosecutors investigate offender’s plans to distribute The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arrested and charged a South African man in his 50s caught for smuggling a suitcase with 20 kilograms of cannabis into the island. According to the prosecution office, the man is alleged of trying to domestically distribute African-grown cannabis. This is the largest seizure yet on Jeju - an amount of the drug can be consumed by upto 40,000 people. It has a market value of 2 billion won. 대마초 20kg 밀반입 외국인 '구속 기소' 20kg 분량의 대마초를 제주국제공항으로 밀반입하려던 외국인 남성이 적발돼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제주지방검찰청은 지난 2일 대마초 약 20kg을 여행용 가방에 담아 제주공항을 통해 반입하려 한 혐의로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적 40살 A씨를 구속 기소했습니다. 검찰에 따르면 A씨는 남아공에서 재배된 대마를 낱개 포장해 여행용 가방에 담은 뒤 제주에서 다른지역으로 유포하려 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적발된 대마는 시가 20억 원 상당으로 4만명이 동시에 흡연할 수 있는 분량이며 제주공항으로 밀반입된 최대 규모입니다.
  • 2019.06.25(tue)  |  김동국
  • Ora Tourism Complex developer JCC yet to make a deposit
  • 3. Ora Tourism Complex developer JCC yet to make a deposit ‘Still waiting on Chinese headquarters’ decision’: JCC The developer of the Ora Tourism Complex JCC has yet to make a deposit into an account owned by the province by the end of this month. According to the provincial government, JCC has not made a deposit, although there is less than a week left before the due date. Officials said that the only answer they received from JCC was that the company’s headquarters in China has not finalized its decisions. At the end of last year, the Capital Verification Committee for the Ora Tourism Complex development asked JCC for a deposit of 337.3 billion won. The deposit is 10% of the development cost of 5.218 trillion won after subtracting 1.8 trillion won of revenue generated by selling of parts of the tourism complex land. 예치금 납입 이달말 종료…JCC 움직임 없어 오라관광단지 자본예치금 납입 기한이 이번 달로 종료되는 가운데 사업자측은 아직까지 이렇다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사업자인 JCC는 납입기한 일주일이 남은 현재까지 예치금을 입금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제주도는 사업자측으로부터 중국 본사의 최종 결정이 내려오지 않았다는 답변만 전달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제주도 자본검증위원회는 오라관광단지 자본 투명성을 검증하기 위해 지난해 말 사업자 측에 자기자본의 10%인 3천 3백억 여원을 이번 달까지 납입할 것으로 요구했습니다.
  • 2019.06.25(tue)  |  김동국
  • Over 210,000 sign petition for death penalty of Koh Yu-jeong
  • 2. Over 210,000 sign petition for death penalty of Koh Yu-jeong Participants await official reply from Seoul In related news, more than 210,000 people have joined a public petition asking the national government to put Koh Yu-jeong on death row. The government's response to the petition is drawing attention as it is required to give official answers to petitions signed by more than 200,000 people. As of June 25th, more than 210,000 people have signed the petition posted by the bereaved family of the victim on June 7th. The petition requests the court to impose a death sentence to Koh demonstrating that there is law-and-order in this country. '고유정 사형' 국민청원 20만명 넘어 전 남편 살해 피의자 고유정을 법정 최고형인 사형에 처해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 참여 인원이 20만명을 넘어서며 정부 답변이 주목됩니다. 지난 7일 피해자 유족이 작성한 청원 글에는 최초 게시된 지 3주 만인 25일까지 21만여 명이 동의했습니다. 청원 글을 올린 피해자 유족은 고유정에게 법정 최고형인 사형을 선고해 법의 준엄함을 보여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국민청원 참여자가 20만 명을 넘어서면 청와대와 정부는 공식 답변하도록 돼 있습니다.
  • 2019.06.25(tue)  |  김동국
  • Koh drops lawsuit of disclosing her PI
  • 1. Koh drops lawsuit of disclosing her PI Lawmaker to revise Act for the public to recognize criminals It has been belatedly confirmed that Koh Yu-jeong dropped a lawsuit against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s decision to disclose her personal information. Ko Yu-jeong is a 36-year-old woman, currently under arrest for allegedly killing her ex-husband at a pension in Jocheon-eup. Koh’s lawsuit followed a press release of her picture on June 7th after the local police decided to disclose Koh’s personal information on June 5th. According to the Jeju District Court, Koh had filed a lawsuit to annul the local police’s decision on June 7th, but dropped her case after three days. Democratic Party of Korea Lamaker An Gyu-baek is planning on proposing to revise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Specific Violent Crimes’ to make sure that the public can recognize violent crime offenders. 고유정 신상공개 결정 취소 소송 후 '취하' 전 남편을 살해한 뒤 유기한 혐의로 신상정보 공개 결정이 내려진 피의자 고유정이 당시 법원에 신상공개 결정 취소 소송을 냈다가 취하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습니다. 제주지방법원은 고유정이 지난 7일 신상공개 결정 취소 소송을 냈다가 사흘 만인 10일 소송을 취하했다고 밝혔습니다. 고유정은 제주지방경찰청이 신상공개 결정을 내린 이틀 뒤인 지난 7일 얼굴이 취재진에게 포착됐지만 공개된 자리에서는 줄곧 얼굴을 가려왔습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은 고유정처럼 얼굴을 가리는 것을 막기 위해 신상공개를 할 때에는 반드시 얼굴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특정 강력 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개정안을 발의할 예정입니다.
  • 2019.06.25(tue)  |  김동국
KCTV News7
00:38
  • Seoul selects 24 ‘accessible tourism’ sites
  • 5. Seoul selects 24 ‘accessible tourism’ sites 4 local attractions to receive \160M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lected four tourist attractions in Jeju Island, including Seongsan Ilchulbong as ‘accessible tourism’ destinations. The ministry chose 24 sites in six regions across the country as 'accessible tourism’ destinations. Each selected site will receive 160 million won. Four local tourist sites were selected, including Seongsan Ilchulbong, Seobok Exhibition Hall, Seogwipo Forest of Healing and Olle Trail No.7. Designating ‘accessible tourism’ destinations began in 2015. Cheonjiyeon Waterfalls in Jeju Island was previously selected in 2017. 성산일출봉 등 4곳 열린관광지 선정 성산일출봉 등 제주도내 관광지 4곳이 정부에서 선정한 전국 열린관광지로 뽑혔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실시한 전국 열린관광지 사업 공모를 통해 전국 6개 권역에 24곳을 선정했습니다. 이 가운데 제주에서는 성산일출봉과 서복전시관, 서귀포 치유의 숲, 올레 7코스 등 네 곳이 포함됐습니다. 정부의 열린관광지 공모사업은 2015년부터 시작됐고 제주에서는 2017년 천지연폭포가 선정된 바 있습니다.
  • 2019.06.24(mon)  |  김동국
  • Province revises requirements of certification system for rural guesthouses
  • 4. Province revises requirements of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for rural guesthouses Applications open throughout the year from July The province is modifying requirements of a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for rural lodging facilities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Currently, only 39 lodging facilities in Jeju pass the system. This is even less than 1% out of 3,973 rural lodging facilities in the island. The province will accept applications throughout the year from July. Businesses are now no longer required to meet all 20 criteria and can receive safety certification if they score over 85 points in the criteria. Applicants should have operated their guesthouses for more than 6 months. 농어촌민박 안전인증제 지정요건 보완 제주도가 농어촌민박 안전인증제 활성화를 위해 지정조건을 현실에 맞게 보완하고 다음달부터 신청을 받습니다. 우선 신청대상을 운영 경력 6개월 이상으로 강화하고 신청기간은 기존 연 1회에서 연중 수시로 늘렸습니다. 또 20개 항목요건 모두 충족해야 했던 것을 점수화 해 전체적으로 85점 이상이면 지정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현재 도내 농어촌민박은 4천여 곳으로 안전인증을 받은 곳은 39곳에 머물고 있습니다.
  • 2019.06.24(mon)  |  김동국
  • Local prosecutor wins personal case against justice minister
  • 3. Local prosecutor wins personal case against justice minister Complaint sought to overturn punitive one-month pay reduction The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former Deputy Chief Prosecutor Kim Han-soo won in his lawsuit against the justice minister. He had filed a complaint to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 to revoke disciplinary action taken against him. Kim was previously handed a one-month salary reduction as punishment for withdrawing an arrest warrant request without notifying the prosecutor in charge. '영장 회수' 검사, 징계 불복 소송에서 승소 법원에 제출된 압수수색 영장 청구서를 담당 검사에게 알리지 않고 회수해 감봉 처분을 받은 김한수 전 제주지검 차장검사가 징계에 불복해 낸 소송에서 승소했습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는 김 전 차장검사가 법무부 장관을 상대로 낸 징계처분 취소 소송에서 감봉 처분을 취소한다며 원고 승소 판결했습니다. 앞서 김 전 차장검사는 재작년 6월 주임 검사가 낸 압수수색 영장 청구서를 당사자에게 알리지 않고 회수했다가 감봉 1개월 처분을 받았습니다.
  • 2019.06.24(mon)  |  김동국
  • 5 beaches in Jeju now open for summer season
  • 2. 5 beaches in Jeju now open for summer season Province to allocate safety guards to 11 beaches Last Saturday, 5 local beaches opened for the summer season. Travelers and locals are welcome to visit Hyeopjae, Geumneung, Iho, Hamdeok and Gwakji beaches, which have been open to the public since June 22nd. The official opening dates of other beaches including Samyang, Gimnyeong, Singyang, Jungmun, Pyoseon, Hwasun beaches will be July 1st. Lifeguards will be stationed at the 11 designated beaches at all times to ensure visitors’ safety. 제주도내 5개 해수욕장 내일 개장 제주도내 5개 해수욕장이 22일 개장했습니다. 개장한 해수욕장은 협재와 금능, 이호, 함덕, 곽지해수욕장 입니다. 삼양과 김녕, 신양, 중문, 표선, 화순해수욕장은 다음달 1일 개장합니다. 제주도는 지정해수욕장 11곳에 안전요원을 상시 배치할 계획입니다.
  • 2019.06.24(mon)  |  김동국
  • 4·3 symposium held at UN headquarters on June 20
  • 1. 4·3 symposium held at UN headquarters on June 20 Speakers point to U.S. participation in April 3rd massacre The April 3rd Peace Foundation and the Permanent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United Nations held an international symposium under the theme of “The April 3rd Incident: Human Rights, Responsibility and Reconciliation” at the UN Headquarters in New York City on June 20th. The symposium featured testimonies from the bereaved families and presentations calling for clarification of U.S. involvement in the tragic event. In a keynote speech, Bishop Kang U-il said the U.S. should reveal its stance regarding the incident, saying that it was the U.S. military leadership that formulated policies and ordered the Korean army and police to execute and massacre civilians. University of Chicago Professor Bruce Cummings agreed with him. He said that the U.S. cannot avoid blame. 4·3 심포지엄 UN서 개최…"미국 책임 규명" 제주 4·3 인권 심포지엄이 현지 시각으로 20일 오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렸습니다. 주유엔대한민국대표부과 주최한 이번 심포지엄은 '제주 4·3의 진실과 책임 그리고 화해'를 주제로 4.3 유족들의 증언과 미국 책임 규명을 요구하는 주제발표 등이 마련됐습니다. 강우일 주교는 기조발표에서 4.3 당시 학살과 처형은 군경이 했지만, 정책을 수립하고 명령을 이행한 것은 미군 지도부였다며 미국 당국이 어떤 식으로든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학 교수도 미국이 한국 군부와 군경을 이끌었다며 4.3에 대해 미국의 실질적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 2019.06.24(mon)  |  김동국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