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Jeju 4.3 Peace Memorial Museum Operates Online
  • Jeju 4.3 Peace Memorial Museum Operates Online The province has completed the construction project for a ‘Smart Jeju 4.3 Peace Memorial Museum’. After being selected for the ‘Smart Public Museum Construction Support Project’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February of last year, a total investment of 200 million won was allocated for the project. The smart museum features a 3D exhibition hall, a virtual reality exhibition hall, an online memorial hall, as well as 3D artifacts and relics. In the online memorial hall, visitor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virtually explore the memorial hall of the Jeju 4.3 Peace Park in 3D format and locate the names of the victims, paying tribute to their memory and honoring their lives. 온라인으로 만나는 제주 4·3평화기념관 운영 제주특별자치도가 스마트 제주 4.3평화 기념관 구축사업을 마무리했습니다. 지난해 2월 문화체육관광부의 스마트 공립박물관 구축 지원사업에 선정된 후 사업비 2억원을 투입해 구축했습니다. 스마트 4.3평화기념관에는 3D 전시회와 가상현실 전시관, 온라인 추모관, 3D 유물유품 등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 추모관에서는 제주 4.3 평화공원에 있는 위패봉안실 내부를 3D로 둘러보면서 희생자명으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3.07.03(mon)  |  고주연
  • Jeju 4.3 Film Festival Runs until November 25th
  • Jeju 4.3 Film Festival Runs until November 25th The Jeju 4.3 Film Festival, which introduces films that reveal the pain and truth of Jeju 4.3, will be held throughout Jeju for six months until November 25th. The Jeju 4.3 Peace Foundation has organized this film festival for the first time that aims to shed light on footage that have played a crucial role in uncovering the truth and preserving the history of the Jeju 4.3 incident. The festival will showcase 19 domestic and international films and documentaries. Attendees will also have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engaging discussions and listen to commentaries about the films from the directors and invited guests. Screenings will be available for view every last Friday and Saturday of each month at Jeju CGV. In August, the festival will include screenings at Lotte Cinema Seogwipo Branch, followed by screenings at Seoul Indie Space in September. 첫 4·3 영화제 개막…11월 25일까지 열려 제주 4.3의 아픔과 진실을 알려온 영화들을 소개하는 4.3 영화제가 11월 25일까지 6개월 동안 제주 곳곳에서 열립니다. 제주4.3평화재단이 4.3 진상규명과 기억투쟁에 앞장선 영화와 영상을 재조명하기 위해 올해 처음 마련한 이번 영화제에는 국내외 영화와 다큐멘터리 작품 19편이 선보입니다. 이와함께 감독과 특별손님을 초청해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시간도 마련됩니다. 영화 상영은 매월 마지막주 금요일과 토요일 제주 CGV에서 진행되며, 8월에는 롯세시네마 서귀포점, 9월에는 서울인디스페이스에서도 진행됩니다.
  • 2023.07.03(mon)  |  고주연
  • Support for Menstrual Products for Vulnerable Adolescents
  • Support for menstrual products will be provided year-round for vulnerable women and adolescents. The support is targeted towards those in low-income households, disadvantaged social groups, and single-parent families, and they will receive vouchers worth 13,000 won per month for menstrual products. Applications for the support can be submitted anytime through the online welfare portal or mobile application, as well as at local community centers in the respective residential areas. 취약계층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연중 지원 취약계층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생리용품 지원이 연중 이뤄집니다. 지원대상은 생계 수급자나 차상위 계층, 한부모 가정 등으로 월 1만 3천원 상당의 바우처가 지원됩니다. 지원 신청은 복지로 누리집이나 모바일앱, 주소지 읍면동주민센터에서 언제든 가능합니다.
  • 2023.06.29(thur)  |  이현
  • Seogwipo City Tackles Chronic Flooding Areas
  • Seogwipo City is set to proceed with the construction of sewage pipes in areas prone to chronic flooding, caused by soil, leaves, and garbage accumulation. The city announced that it will allocate a budget of 1 billion won this year to carry out sewage pipe construction and CCTV surveys in the areas of Namwon to Seongsan and Andeok to Daejeong. Additionally, separate construction of drainage channels will be conducted to prevent flooding damage due to poor drainage caused by sediment accumulation. The aim is to address and mitigate the issue of flooding by improving the sewage infrastructure and ensuring proper drainage in affected areas. 서귀포시, 상습 침수지 하수관·집수구 준설 추진 토사나 낙엽 쓰레기 등으로 상습 침수가 발생하는 지역 하수관에 대한 준설 공사가 추진됩니다. 서귀포시는 올해 예산 10억 원을 투입해 남원에서 성산 일대 그리고, 안덕에서 대정 일대를 대상으로 하수관로 준설공사와 CCTV 정밀 조사 용역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집수구 준설공사도 별도로 시행해 퇴적물로 인한 배수 불량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한다는 계획입니다.
  • 2023.06.29(thur)  |  이현
  • Jeju Pilots Nation's First Radiation-Safe Village
  • Amid growing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seafood due to the imminent release of contaminated water from Fukushima, Jeju Island is launching the nation's first pilot test on a radiation-safe seafood village. Once designated as a radiation-safe village, fish such as flatfish, abalone, and clams that are cultivated and harvested in the village will undergo radiation inspections. If they pass the safety standards, they will receive the government's safety certification. Applications for pilot villages will be accepted until the end of this month, including fishing communities and aquaculture sites. Meanwhile, the government plans to expand the project nationwide based on the results and achievements of the pilot operation of the radiation-safe seafood village. 전국 최초 '수산물 방사능 안전마을' 시범 운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임박하면서 수산물 안전성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가 전국 최초로 수산물 방사능 안전마을 시범사업을 시작합니다. 방사능 안전마을로 지정되면 마을에서 기르고 수확하는 넙치와 소라, 톳 등에 대해 방사능 검사가 이뤄지고 적합 판정을 받으면 정부의 안전 인증이 주어집니다. 시범마을 신청은 어촌계와 양식장이 있는 마을 단위로 이달 말까지 접수합니다. 한편, 정부는 수산물 방사능 안전마을 시범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입니다.
  • 2023.06.29(thur)  |  이현
  • Jeju Cracks Down on Illegal Salt Distribution
  • The Jeju Coast Guard will conduct a special crackdown on the illegal distribution activities exploiting the recent Salt frenzy. The Coast Guard plans to crack down on activities such as disguising imported salt as domestically produced salt, mixing different types of salt for distribution, selling inedible salt, or falsifying distribution records. The Coast Guard, along with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will participate in the crackdown. The Coast Guard strongly urges the public to actively report any illegal distribution activities related to Cheonil Salt. 해경, '품귀 현상' 천일염 불법 유통 특별 단속 제주해경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천일염 대란을 악용한 불법 유통 행위를 특별 단속합니다. 해경은 수입산 소금을 국내산으로 둔갑하거나 혼합해 유통하는 행위, 식용이 불가능한 소금을 유통하거나 유통 이력을 거짓 표시하는 행위 등을 단속할 예정입니다. 단속에는 해경과 해양수산부 수산물 품질관리원 등이 함께 참여합니다. 해경은 천일염 불법 유통 행위에 대한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했습니다.
  • 2023.06.29(thur)  |  이현
  • Heightened Crackdown on Seafood Origin Labeling
  • Starting from the 1st of next month, Jeju Island will enhance the enforcement of origin labeling for seafood in general restaurants. In particular, the range of targeted items has been expanded from the existing 15 to 20, including scallops, sea snails, mackerel, and abalone. If false labeling of origin is discovered, the offender may face imprisonment for up to 7 years or a fine of up to 100 million won. Failure to provide origin labeling or violation of labeling methods may result in fines of up to 10 million won. 음식점 수산물 원산지 표시 단속 강화…품목 확대 제주도가 다음달 1일부터 일반음식점을 대상으로 수산물 원산지 표시 단속을 강화합니다. 특히 단속 대상 품목은 기존 15개 품목에서 가리비와 우렁쉥이, 방어, 전복 등이 추가돼 20개로 확대됐습니다. 원산지 거짓 표시 행위가 적발되면 7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며 원산지 표시를 하지 않거나 표시방법을 위반하면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2023.06.29(thur)  |  이현
  • University Professor Charged with Embezzlement
  • A case involving Professor A from Jeju University has been referred to the prosecutor's office, as A is suspected of falsely registering the names of researchers to embezzle funds, including salaries. According to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A has been sent to the prosecutor's office on charges of fraud and violation of subsidy management laws. As per the police investigation, the professor allegedly falsified the names of five researchers while conducting a job support project for marine structure management. He is accused of embezzling 40 million won in subsidies from 2018 until the end of last year. During the investigation process, the researchers who assisted in the false registration of the assistant's name have also been referred to the prosecutor's office and may face charges of aiding and abetting fraud. 연구원 허위 등록해 보조금 빼돌린 대학 교수 '송치' 연구원 이름을 허위로 올려 인건비 등을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는 제주대 교수 A씨에 대한 사건이 검찰로 넘겨졌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사기와 보조금 관리법 위반 혐의로 A 교수를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A 교수는 해양구조물 관리 취업 지원 사업을 하면서 연구원 5명의 이름을 허위로 등록한 뒤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보조금 4천만 원을 빼돌림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수사 과정에서 연구원 허위 등록을 도운 연구원에 대해서도 사기 방조 등의 혐의를 적용해 검찰로 넘겼습니다.
  • 2023.06.29(thur)  |  이현
  • Teenage Parents: Hidden in Shadows
  • Teenage Parents: Hidden in Shadows Ms. (이수정) Lee Su-jeong, not her real name, gave birth to her first child at the age of 17 during her first year of high school. Since then, she has raised two children and is 20 years old. Young teenage couples like Lee, who receive monthly child-rearing support payments of about 200,000 won, could find that even this modest sum is unavailable to them from next year. Lee’s husband, who turned 24 years old, is at risk of being removed from the government support program designed to help teenage couples. INTERVIEW Lee Su-jeong (pseudonym) / Teenage mother I am at an age where I could still receive teenage couple support for about 4 to 5 more years, but because my husband is older, I am also unable to receive it. I am a teenage parent, but now I'm being treated as if I'm not. According to recent data, Jeju has a higher number of teenage couple households compared to the national average. According to the Jeju Women and Family Research Institute, out of the 368 families with teenage parents aged 24 and under, including single parents, there is a significant proportion, or 170 families, that are teenage couple families in Jeju. However, these teenage couple families are being excluded from various support policies and programs. For teenage single parents, support is provided until they reach adulthood, including assistance with enrollment in academies to obtain a GED or other certifications. Financial support for child-rearing, housing, vocational training, and independent settlement funds for the head of the household are also on offer. However, unlike teenage single parents, teenage couples receive limited support beyond childcare, nurtur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INTERVIEW Dr. Lee Yeon-hwa / Representative, Jeju Women & Family Research Institute Teenage couples often have missed out on achieving certain developmental milestones during their adolescence due to the immediate responsibilities of child-rearing. There is a need for family and youth policies to provide support in these areas. Young teenage parents, who have established families earlier than their peers, require support from family and youth policies to safely engage in social activities and enable them to pursue their educational and career goals. 제주 청소년부모 비율 높아…지원 '사각지대' 이수정씨는 고등학교 1학년 시절인 17살 때 첫째 아이를 가졌습니다. 이후 둘째까지 낳아 20살인 올해 2명의 자녀를 키우고 있습니다. 이수정씨 처럼 어린 청소년 부부를 위해 매달 20만원 가량의 양육비 지원됐지만 내년부터는 이 마저도 끊기게 됩니다. 남편의 나이가 24살을 넘기면서 청소년부부 지원대상에서 탈락할 위기에 놓인 겁니다. [인터뷰 이수정 / 청소년 부모 (가명) ] 저는 나이가 충분히 돼서 청소년 부부지원금을 한 4년에서 5년 정도 더 받을 수 있는 나이인데 신랑이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저도 같이 못 받아요. 나는 청소년 부모가 맞는데 청소년 부모가 아닌 걸로 되니까… 제주 지역은 청소년 부부 가구가 전국 평균을 웃돌고 있습니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에 따르면 제주지역 24살 이하 청소년 부모 368가구 가운데 청소년 부부 가구는 170가구로 유독 많습니다. 하지만 이들 청소년 부부들은 각종 지원 정책에서 배제되기 일쑵니다. 청소년 한부모의 경우 성인이 될때까지 검정고시나 자격증 취득 등을 위한 학원등록비나 양육과 주거 지원은 물론 세대주들을 위한 직업 훈련비와 자립정착금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청소년 한부모와 달리 청소년 부부의 경우 양육과 돌봄, 심리상담 등의 지원 외에는 별다른 지원을 받지 못하는게 현실입니다. [인터뷰 이연화 /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박사 ] 청소년기에 달성해야 하는 과업 목표들이 있습니다. 그것이 자녀를 출산하고 바로 양육에 들어가다 보니까 익히지 못했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대해서 가족 정책이나 그리고 청년 정책에서 지원이 필요하고. 어린 나이에 남들보다 일찍 가정을 이룬 청소년 부모들이 안전하게 사회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청소년 부부를 위한 진로와 진학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 2023.06.29(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