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4·3 Trauma Center Promotion Progress Slow
  • 4·3 Trauma Center Promotion Progress Slow The provincial government has pushed forward to promote the April 3rd Incident Trauma Center to a national center, but the process shows little progress compared to other regions. According to the province, as the related law for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national trauma treatment center was enacted in December 2021,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national trauma center in Gwangju City is ongoing along with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eanwhile, the Jeju April 3rd Incident Trauma Center has not received any response yet from Seoul in regards to its upgrade, even though the current pilot project is already facing capacity limitations. As President Moon Jae-in promised to promote the April 3rd Incident Trauma Center to a national trauma center during last year’s commemoration ceremony, the provincial office will continue to request to move forward and negotiate with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4·3트라우마센터 국립 승격 약속에도 추진 더뎌 제주도가 4.3트라우마센터를 국립 센터로 승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다른지역과 달리 더딘 속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제주도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 운영법이 제정됨에 따라 광주에서는 행정안전부와 함께 내년 국립 트라우마센터 건립을 위한 관련 절차가 추진 중입니다. 반면 제주 4.3트라우마센터의 경우 현재 시범사업 규모로는 이용자 수용에 한계를 보이고 있지만 국립 센터 승격은 정부로부터 확답을 받지 못한 상황입니다. 제주도는 지난해 4.3추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국립 트라우마센터 승격을 약속한 만큼 행안부에 지속적인 요청과 절충을 이어갈 방침입니다.
  • 2022.02.16(wed)  |  고주연
  • Academy Van Services Stretch Budgets
  • Academy Van Services Stretch Budgets This mother of an elementary school child recently received a message about additional fees from her child's gym. The notice says that the charges may be required to cover additional personnel expenses from hiring a van assistant. This comes in the wake of last month's tragic death of a young elementary school student who was dragged behind a private institute's van in Jeju City. As many private institutes are beginning to charge for school van services, the financial burden for parents is growing. Parent I understand the position of the academy, though from the perspective of households, it's a burden to pay more for vehicles due to regulations. As private institutes face difficulties in the costly hiring of new assistants, some have opted to simply halt van services for students. Inquiries about information on private institutes that operate vans are often posted in online communities for parents. Parents' complaints are growing, but private institutes say the additional charges are unavoidable as COVID-related expenses grow. The situation outside city centers is even more serious. In rural areas where public transportation is lacking, students often use academy vehicles to return home. Phone Recording Representative, Jeju Academy Association Bus intervals in some rural areas are between 1 and 2 hours. Students there have used the vans to get home. But I don't think academies can just operate them for free anymore. Back in 2015, the Road Traffic Act was revised to require a school bus assistant to be on board when students were present. After years of pushback by private institutes and indirect oversight by officials, these businesses are facing a massive crackdown in the wake of the recent student fatality. With the sudden push to prevent violations of the Road Traffic Act, private academies and parents alike are confronting the financial burdens associated with putting the safety of students first. 동승자 단속에 학부모 '발동동' 초등학생 자녀를 둔 이 여성은 체육관으로부터 요금과 관련한 안내문을 받았습니다. 최근 초등학생 사망 사고로 동승자 고용에 따른 차량 운영비를 별도로 부과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상당수 학원들이 차량 운영비 유료화 움직임을 보이면서 학부모들의 부담은 커졌습니다. [학부모] "부담이 되죠. 학원 입장이 이해가 안 되는 건 아니지만 가계 입장에서는 규제 때문에 차량비를 더 받는다는 건 부담이 됩니다." 일부 학원들은 비용 부담에 구인난까지 겹치며 아예 차량 운행을 중단하는 학원들까지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학부모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차량을 운행하는 학원을 문의하는 글들도 심심찮게 올라옵니다. 학부모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지만 학원가에선 코로나19로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특히 외곽지역에 있는 학원들의 사정은 더욱 심각한 수준이라고 말합니다. 대중교통이 불편한 중산간 지역의 가정들은 학원 차량을 자녀들의 귀가용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겁니다. [전화녹취 제주도학원연합회 관계자] "이런 데는 (대중교통) 차 시간이 1시간, 2시간 이렇게 되는데 그런 쪽에서는 애들이 기다려야 되거든요. 그런데 이제는 학원 측에서도 그냥 (무료 운행) 해줄 수는 없지 않을까..." 어린이 통학버스에 동승자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세림이법이 시행된 건 2015년입니다. 하지만 그동안 학원가 반발을 의식해 계도에 그치다 최근 초등학생 사망 사고를 계기로 뒤늦게 대대적인 단속에 나서고 있습니다. 예고없이 닥친 세림이법 단속에 영세학원들은 경영난을, 학부모들은 가계 부담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 2022.02.14(mon)  |  고주연
  • Pet Neutering Project Underway
  • Pet Neutering Project Underway A project supporting pet neutering will be pushed forward this year as well to prevent overbreeding of alley cats. The Jeju City and Seogwipo City offices will invest 220 million won and 108 million won, respectively in neutering 3,000 alley cats. The offices will install animal traps at the areas where a lot of alley cats have been reported seen to capture alley cats and release them after being neutered or spayed. Approximately 2000 animals were neutered or spayedin Jeju City last year and 980 in Seogwipo. 올해 길고양이 3천마리 중성화 사업 추진 길고양이들의 과잉 번식을 막기 위한 중성화 수술 사업이 올해도 추진됩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올해 각각 2억 2천여 만원과 1억 8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길고양이 3천마리에 대해 중성화 수술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이에따라 민원이 많은 지역에 포획틀을 설치해 포획한 후에 중성화 수술을 마치고 방사할 계획입니다. 제주시는 지난해 2천여 마리, 서귀포시는 980여 마리를 중성화 수술했습니다.
  • 2022.02.14(mon)  |  고주연
  • Business to Self Measure Air Pollutants
  • Business to Self Measure Air Pollutants The Jeju City office will inspect 207 business sites emitting air pollutants on whether they are measuring air pollutants by themselves within this month. Business sites which do not follow self-measurement rules will face criminal charges and companies which do not submit result reports and records measurement will be fined. Moreover, the city will induce business sites with old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to improve their facilities in connection with a project supporting the installation. 제주시, 대기오염물질 자가측정 미이행 사업장 점검 제주시가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207개소를 대상으로 이달 중 자가측정 여부를 전수조사합니다. 조사 결과 자가측정 미이행 사업장은 형사고발하고 자가측정 이행 후 결과보고서와 기록부를 제출하지 않은 사업장에 대해서는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입니다. 제주시는 이와 함께 대기오염 방지시설이 노후된 사업장에는 설치지원 보조사업과 연계해 시설 개선을 유도할 계획입니다.
  • 2022.02.14(mon)  |  고주연
  • 18 More Recycling Centers in Jeju City
  • 18 More Recycling Centers in Jeju City The Jeju Municipal Office will create 18 additional recycling centers this year with its budget of 3.65 billion won. Three recycling centers will be established at public car parks and at 15 new sites. Moreover, the city government will push forward a plan to sell recyclable waste directly at the centers and will install 30 food waste reducers. Jeju City has operated 53 recycling centers since 2017. 제주시, 재활용도움센터 18곳 추가 설치 추진 제주시가 올해 예산 36억 5천만 원을 투입해 재활용도움센터 18개소를 신설합니다. 올해 신설되는 곳은 신규 15개소와 복층화 공영주차장 3개소입니다. 이와 함께 앞으로 재활용도움센터에서 재활용품을 직접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음식물 폐기물 자체처리 감량기 30여 대를 설치할 계획입니다. 제주시에는 지난 2017년부터 53개소의 재활용도움센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 2022.02.14(mon)  |  고주연
  • Origin Labeling Inspections Conducted
  • Origin Labeling Inspections Conducted The inspection on origin labeling will be conducted at popular tourist sites. The Jeju office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said that the inspection will focus on popular spots, such as well-known cafes promoted on social media, which are selected through prior investigation. Thus, the inspection on origin labeling will be conducted through the 28th. In addition, apart from this inspection, the office plans to monitor whether origin is marked at local specialties and products sold through mail order houses. 관광객 몰리는 '핫플레이스' 원산지 표시 위반 단속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이른바 핫플레이스에 대한 원산지 단속이 이뤄집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제주지원은 최근 SNS 등에 유명하다고 알려진 카페 등에 대한 사전조사를 거쳐 의심 업소 대상을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따라 오는 28일까지 해당 업소에 단속반을 투입해 원산지표시 집중 단속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제주지원은 이번 단속과 별도로 제주산 특산품과 통신판매에 대한 원산지표시 여부에 대해 자체 모니터링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 2022.02.14(mon)  |  고주연
  • 49 More Classes at Local Schools
  • 49 More Classes at Local Schools The number of classes at local elementary schools increased by 49, but the number of students decreased. The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has finalized class organization for this year, and the total number of classes this year is 1,817 which is an increase of 49 compared to last year. Meanwhile, the number of students this year decreased by 159 to 41,169. Hence,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oversized classes will decrease by 248, leading a ratio of oversized classes in local elementary schools to be 10.7, which shows a decrease from last year’s 25%. 초등학교 49학급 증설…과밀학급 10.7%로 낮아져 올해 제주지역 초등학교 학생 수는 줄어든 반면 학급 수는 지난해보다 49개 늘어났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이 2022학년도 초등학교 학급편성을 최종 마무리한 결과 전체 학급은 1천817학급으로 전년 보다 49학급이 증가했습니다. 반면 학생수는 4만1천169명으로 지난해보다 159명이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과밀학급도 248학급이 해소되면서 도내 초등학교 과밀학급 비율은 지난해 25%에서 10.7%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 2022.02.14(mon)  |  고주연
  • Council for Hightened Quarantine Efforts
  • Council for Hightened Quarantine Efforts Jeju provincial councilors pointed out that the province has not made enough efforts to promote and guide a changing quarantine system against COVID-19 for Jeju residents, although the system has been changed frequently due to the spread of the Omicron variant. The provincial council’s Health, Welfare and Safety Committee said that frequent changes in the quarantine system has led islanders to be confused, emphasizing the need to guide and promote the system during a briefing session from the province’s COVID-19 response team. The committee also pointed out that even though self-tests for COVID-19 are in effect, it is not easy to get rapid antigen test kits. It is especially difficult for the disabled to get tested with the long waits at screening centers. The province answered that they will review establishing testing spots for the disabled at screening centers and that they will actively guide residents. "방역체계 수시 변경에 도민 혼선…홍보도 부족"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방역의료 체계가 수시로 바뀌고 있지만 제주도민에 대한 홍보와 안내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주도의회에서 제기됐습니다. 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는 제주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으로부터 새해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방역의료 체계의 잦은 변경으로 도민들의 혼선이 심하다며 제주도가 적극적으로 홍보와 안내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셀프 진단검사 체계로 바뀌었지만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구매하기 어렵고 특히 장애인의 경우 선별진료소에서 장시간 대기하면서 검사조차 받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제주도는 선별진료소에서 장애인에 대한 별도 검사창구 등을 검토하고 변경된 체계에 대해 도민들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안내하겠다고 답했습니다.
  • 2022.02.14(mon)  |  고주연
  • Underprepared for Testing and Treatment
  • Underprepared for Testing and Treatment This is a local ENT clinic allowed to conduct rapid antigen tests for COVID-19 in Jeju City. Under the rules of the new national COVID-19 response system, the more-reliable polymerase chain reaction, or PCR tests, are now reserved for people aged 60 or over, and those who have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a COVID-19 patient. Therefore, those who are not in the high-risk group come to the clinic to get the rapid test. For those who test positive, the doctor quarantines them to minimize contact and advises them to get PCR tests. Recording Otolaryngologist Two colored lines appear, which means positive. You need to additionally get a PCR test. As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by quarantine authorities is reaching its limit, local medical clinics have been allowed to conduct rapid antigen testing and prescribe pills to treat patients since this week. Clinics have people lined up to take a test. Recording Nurse at a local ENT clinic About 100 got tests today including a group of people from an organization. The new system somewhat effectively disperses people who want to get tests from crowded public health centers. Recording Tested negative at rapid antigen test I came to get the rapid test as I could be possibly infected. Results from the antigen test come out quickly. However clinics fail to treat patients diagnosed with COVID-19 as authorities and clinics are underprepared. Systems between clinics and the public administration haven't been integrated for a COVID-19 response, so patients cannot get treatment at the clinics as of now. And there are no guidelines set for patients under at-home treatment that clinics should provide medical care to. There are only four local clinics that can perform PCR tests in Jeju. INTERVIEW Kim U-ju / Otolaryngologist There should be more administrative support as most local clinics don't have PCR machines and samples should be sent to a lab. Demand for coronavirus testing at local clinics is soaring, but systems are ill-prepared. It is expected to be a confusing period in responding to the pandemic at local clinics for the time being. 동네 병의원 검사·진료 시작…곳곳에서 '혼선' 코로나 19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한 제주시내 한 병원입니다. 고위험군이 아닌 진단검사 희망자들이 의료진들의 안내에 따라 코로나19 검체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양성이 나온 대상자에 대해서는 의사가 격리조치한 뒤 접촉을 최소화하며 다시 PCR 검사를 받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싱크 : 00이비인후과 의사> "두 줄이라서 일단 양성이 나왔어요. 신속항원검사 양성이기 때문에 PCR검사를 해야 되는데..."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공공 의료시스템이 한계에 다다르자 이번주 부터 본격적으로 동네 병의원에서도 코로나19 검사와 진료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시작과 동시에 검사 행렬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싱크 : 00이비인후과 간호사> "오늘부터 엄청(왔어요.) 오늘 단체가 있어서 100명 정도 왔어요." 보건소에 몰려드는 검사 인원을 분산하는 데는 어느 정도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싱크 : 신속항원검사 음성판정자> "신속항원검사가 있어서 그 걸로 검사를 1차적으로, 불안하니까.(결과가) 빨리 나온다고 해서 ... " 하지만 첫 날부터 준비 부족으로 동네 병의원에서의 환자 치료는 차질을 빚었습니다. 재택 환자 모니터링 역시 병의원과 행정과의 연결 과정 등 정확한 매뉴얼이 마련되지 않아 불가능한 실정입니다. 게다가 전체 병의원 가운데 PCR 검사가 가능한 곳은 단 4곳에 불과해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 김우주 / 00이비인후과 의사> "행정적인 부분이 너무 따라오지 못해요. PCR 검사가 나갈 때 업체에 위탁을 하는데 그런게 없는 병원이 대부분이에요." 동네 병의원에서 검사를 받겠다는 수요는 점차 늘고 있지만 시스템은 자리를 잡지 못하며 당분간 혼선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 2022.02.09(wed)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