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Subsidy for Small Business Owners
  • Subsidy for Small Business Owners Seoul has decided to distribute 5 million won of compensation for losses for the 1st quarter to small business owners who have been affected by the social distancing measure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the advanced payment of the compensation for the losses will be distributed in a way that loans will be offered before losses occur and the amount of loans will be deducted by the amount of damage after amounts have been confirmed. 550 thousands stores whose operation hours were restricted last month will be able to apply for the compensation The amount to be compensated will be 5 million won per business and credit rating examinations will not be held in addition once the applicant is confirmed to meet the standards. 소상공인 손실보상 500만원 설 이전 선지급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으로 피해를 보게 될 소상공인들에게 내년 1분기 손실보상금 500만원을 선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손실보상금 선지급은 손실이 발생하기 전 보상금을 먼저 대출해주고 추후 확정되는 손실보상금으로 대출액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지급됩니다. 신청 대상은 올해 3분기 신속 보상 대상업체 약 70만곳 가운데 이달 영업 시간이 제한된 55만 군데입니다. 보상금은 업체당 500만원으로 대출 대상 여부만 확인되면 신용등급에 대한 별도 심사 없이 이뤄집니다.
  • 2022.01.03(mon)  |  고주연
  • New Year’s COVID Doldrums
  • New Year’s COVID Doldrums This is (성산) Seongsan Sunrise Peak. Unlike previous years, the once crowded and festive spot where people came to welcome the new year, is more subdued than ever. Local merchants are lamenting that the number of visitors will again not live up to their expectations. Due to another nationwide spread of COVID-19, this year's sunset and sunrise festivals will once again be scaled back to non-face-to-face events. The trail and parking lots at Seongsan Sunrise Peak will be closed from 7 p.m. on December 31st to 9 a.m. on January 1st. Nearby beaches, which are popular for sunrise watching, will also be closed to the public. It will also be impossible to view the sunset and sunrise from the top of Hallasan Mountain.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close all hiking trails in national parks, including Hallasan Mountain, for three days from the 31st to the 2nd. Large sports events and festivals at the beginning of the New Year have also been canceled. The Seogwipo International Winter Sea Penguin Swim held annually on January 1st has been canceled in light of the pandemic. New Year's greetings held by the leaders of loc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governor and the chair of the Provincial Council, have also been canceled for a second year. With the island's New Year's sunset and sunrise events called off again due to COVID-19, a looming sense of regret hangs over businesses that had hoped for a much-needed windfall. 썰렁한 해넘이 명소...특수는 커녕 한숨만 서귀포시 성산일출봉입니다. 해넘이 명소이자 가장 먼저 새해를 맞고 싶어하는 해돋이 인파로 연말이면 북적이던 예년과 달리 올해는 한층 분위기가 가라앉아 있습니다. 지역 상인들도 관광객이 예년 수준도 안 된다며 푸념합니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올해도 해넘이 행사와 일출제가 올해도 비대면으로 축소 진행됩니다. 특히 전날 오후 7시부터 새해 첫날 오전 9시까지는 성산일출봉 입산 뿐만 아니라 주차장 이용도 전면 통제됩니다. 일출봉 주변 해돋이 명소인 해변에도 인파가 몰리지 않도록 출입이 통제됩니다. 한라산 정상에서의 해넘이와 해돋이도 볼 수 없게 됐습니다. 정부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31일부터 새해 2일까지 사흘간 한라산 등 국립공원 입장을 전면 통제하기로 했습니다. 새해 연초 굵직한 대형 스포츠 축제와 행사들도 잇따라 취소됐습니다. 매년 1월 1일 열리는 국제펭귄수영대회도 코로나19로 인해 무산됐습니다. 새해 제주도지사와 도의회 의장 등 도내 각급 기관단체장들이 참여하는 '제주도민 신년인사회' 역시 올해에 이어 2년 연속 취소됐습니다. 코로나19 재확산 속에 기대했던 해넘이·해돋이 행사가 줄지어 취소되면서 반짝 특수를 기대하던 명소 주변 상권에선 깊은 한숨만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 2021.12.29(wed)  |  고주연
  • Eco-friendly Packages Offered to Remote Students
  • Eco-friendly Packages Offered to Remote Students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re providing additional packages of locally grown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o families of students who are taking remote classes due to COVID-19. The package includes 10 items, including winter vegetables and processed foods. These items will be purchased by the remainder of the catering budget. The packages will be delivered from the 15th of January of next year, after the households apply for them. During the first half of this year, 195 tons of product packages were delivered to 30,000 households in Jeju. 원격수업 가정에 농산물 꾸러미 추가 공급 코로나19 확산으로 2학기 원격수업이 병행됨에 따라 제주도와 교육청이 제주산 친환경농산물 꾸러미를 학생 가정에 추가 공급합니다. 이번에 공급되는 꾸러미는 월동채소와 가공식품 등 10개 품목으로 구성되며 남은 학교급식비 예산으로 구입하게 됩니다. 학생 가정이 꾸러미를 신청하면 대상자를 확정해 다음달 15일부터 각 가정에 배송됩니다. 앞서 올해 상반기에도 도내 3만여 학생 가정에 195톤 분량의 꾸러미가 공급됐습니다.
  • 2021.12.29(wed)  |  고주연
  • Helicopter Touchdown Spots Built in Seogwipo
  • Helicopter Touchdown Spots Built in Seogwipo The construction of the helicopter touchdown spot near (평화로) Pyeonghwa-ro road at (동광리) Donggwang-ri, Andeok-myeon in Seogwipo City has been finalized. The touchdown spot was constructed as a part of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medical network connecting local communities. The landing pad will be used to respond to large scale accidents that may occur near (평화로) Pyeonghwa-ro road and will help handle a large number of casualties and bush fires. Seogwipo City will use the landing pad as a training ground for firefighting helicopters and expects the development to work as a foundation for medical helicopters in the future. 서귀포시 평화로 인근 헬기 이착륙장 준공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평화로 인근에 헬기 이착륙장 조성이 마무리돼 본격 운영됩니다. 지역사회 통합형 의료안전망 구축사업에 일환으로 조성된 헬기 이착륙장은 평화로 인근 대형사고와 다수사상자 발생시 긴급 대응, 산불진화 헬기 이착륙이 가능한 인계점으로 활용됩니다. 서귀포시는 헬기장을 소방헬기 훈련장으로 활용하고 향후 닥터헬기 도입을 위한 기반시설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2021.12.29(wed)  |  고주연
  • Expansion on Odor Survey
  • Expansion on Odor Survey The province will strengthen odor management by conducting research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odor management system next year. In addition, a quarterly survey on odor emission will be expanded at 100 farms designated as odor management sites. The areas subject to monitoring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will be expanded from Hallim to Aewol, Hangyeong and Daejeong. The provincial government plans to implement a plan to reduce odor by confirming sources, after agencies for inspecting odor materials are designated. 양돈 악취 실태조사·주민참여 모니터링 확대 제주도가 내년에 악취관리 종합계획 수립 용역을 실시해 악취 관리를 강화합니다. 이와함께 현재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된 농가 100곳을 대상으로 분기별 악취실태 조사를 확대합니다. 모바일 앱을 활용한 주민참여형 모니터링 대상도 현재 한림지역에서 애월과 한경, 대정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제주도는 내년 상반기에 악취 물질 검사기관이 지정되면 악취 원인을 파악해 저감 대책을 수립해 나갈 계획입니다.
  • 2021.12.29(wed)  |  고주연
  • Cultivation area measured by drones
  • Cultivation area measured by drones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f farmlands by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e cultivation areas of vegetables reach 12,000 ha measured by drones. By crop, winter radishes top the list with 5,400 ha followed by carrots and garlics with 1,200 ha and onions with 700 ha. The province is planning to unify cultivation area statistics by offering information about cultivated crops to farmers. Policies stabilizing the supply of winter vegetables will be reflected in the inform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high resolution drone cameras 30 meters above ground level to determine types of crops. Then, crossover analysis was used wit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드론으로 채소류 재배면적 조사…'월동무' 최다 제주도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전체 농경지를 드론으로 관측한 결과 주요 채소류 재배면적은 1만 2천여 헥타르로 조사됐습니다. 주요 월동채소 가운데 월동무가 5천 400여 헥타르로 가장 많았고 양배추 1천 900헥타르, 당근과 마늘 1천 200헥타르, 양파 약 700헥타르로 파악됐습니다. 제주도는 드론 관측으로 산출한 농작물 재배 정보를 농업 현장에 제공해 면적 통계를 일원화하고 월동채소 수급 안정 정책에 활용할 방침입니다. 이번 조사는 고도 30미터에서 고해상도 드론을 통해 농작물을 판독하고 재배면적 신고 필지에 대한 교차 분석으로 진행됐습니다.
  • 2021.12.29(wed)  |  고주연
  • More Wild Dogs in Jeju
  • More Wild Dogs in Jeju It is estimated that 2,000 wild dogs are residing in middle mountainous areas in Jeju. The provincial government has commissioned 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to conduct a research on inhabitation of wild dogs. The results forecasted that about 1,600 to 2,100 wild dogs are inhabiting middle mountainous areas. In particular, the results found out that wild dogs, as apex predators, have harmed both livestock and wild animals, including cattles, chickens and roe deers. The researchers suggest the expansion of spaying and neutering and animal registration systems so that abandoned dogs cannot become wild dogs. They also request legal review whether to designate wild dogs as harmful wild animals. 중산간 일대 야생들개 2천마리 서식 추정 제주지역 중산간에 야생화된 들개가 2천마리 정도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제주도가 제주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한 야생들개 서식 실태조사 용역 결과 중산간 지대에 1천 600여 마리에서 2천 100여 마리가 서식하고 있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특히 야생들개가 최상위 포식자로서 소나 닭 같은 가축과 노루 등 야생동물에도 지속적인 피해를 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용역진은 유기견이 들개화되지 않도록 동물등록제와 중성화 수술 확대 등을 추진하고 유해 야생동물 지정 여부에 대한 법적 검토를 제안했습니다.
  • 2021.12.29(wed)  |  고주연
  • Mandarin Orange Prices Increase
  • Mandarin Orange Prices Increase This year’s outdoor grown mandarin orange prices show an increase compared to last year. According to the province, a 5 kilogram box of outdoor grown mandarin oranges is being sold at 8,278 won on average, which is 12% higher than average year. In addition, this price is higher than the average prices in 2019 and 2020 by 27% and 13%, respectively. The reason for the high price levels this year is due to the amount of shipments decreasing caused by a drop in the expected amount of mandarins by 7% compared to last year and isolation of substandard fruits. The provincial office will inspect the shipment of substandard fruits to stabilize prices and the office asks local farms to release mandarins meeting standards only. 올해산 노지감귤 가격 평년보다 12% 높아 올해산 노지감귤이 평년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되며 호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올해산 노지감귤 평균가격은 5킬로그램당 8천 278원으로 평년보다 12% 가량 높게 형성돼 있습니다. 2019년산과 지난해산 노지감귤 평균가격보다도 각각 27%, 13% 높은 수준입니다. 감귤가격이 높게 형성된 것은 생산 예상량이 지난해보다 7% 감소했고 규격이 아닌 감귤이 시장에서 격리돼 출하량이 적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제주도는 감귤가격 안정세를 유지하기 위해 비상품 출하를 지속적으로 단속하고 상품만 출하할 수 있도록 농가 협조를 부탁했습니다.
  • 2021.12.29(wed)  |  고주연
  • Jusangjeolli Improved for Next Year
  • Jusangjeolli Improved for Next Year The Seogwipo City Municipal Office will promote a project to revive geological and landscape values of the (주상절리) Jusangjeolli columnar joints along the Jungmun Daepo Coast with the investment of 9.4 billion won from 2022 through 2024. The project includes removing sculptures, establishing eco-friendly grasslands with broad flat rock trees and extending the viewing path at the observatory desk. Seogwipo officials recently received approval of cultural heritage alteration to push forward the project in May. 내년부터 중문 주상절리대 경관개선 추진 서귀포시가 내년부터 오는 2024년까지 사업비 94억원을 투입해 주상절리대의 지질학적, 경관적 가치를 되살리기 위한 개선사업을 추진합니다. 주요내용을 보면 인위적인 조형물을 철거하고 자연 친화적인 빌레초지 조성, 전망데크 관람동선 연장 등 입니다. 서귀포시는 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 5월 문화재현상변경 허가를 받았습니다.
  • 2021.12.27(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