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189 middle school teachers to be recruited
  • 189 middle school teachers to be recruited Applications accepted from the 25th until the 29th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ill recruit 189 teachers for public middle schools next year. By sector, 125 teachers will be recruited for 16 subjects. In addition 17 school nurses and 18 nutritionists will be hired.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increased the number of newly recruited teachers by 53 from 136 to 189, considering the number of teachers who will resign next year.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for 5 days from the 25th until the 29th, online only. The first exam will take place on November 27th. 교육청, 내년 공립 중등교사 189명 선발 제주도교육청이 내년도 공립 중등교사 189명을 선발합니다. 분야별로는 16개 교과에서 125명, 보건 교사 17명, 영양교사 18명 등입니다. 교육부 배정 정원과 내년 퇴직자 수를 고려해 선발 인원을 136명에서 189명으로 53명 늘렸습니다. 응시원서 접수는 오는 25일부터 29일까지 5일 동안 인터넷으로만 가능하며 1차 시험은 11월 27일 치러집니다.
  • 2021.10.18(mon)  |  고주연
  • Low awareness on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Plan
  • Low awareness on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Plan Councilors plan to raise awareness A survey revealed that the awareness of the 3rd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Comprehensive Plan, a highest grade official plan led by the provincial government, is low among public officials. According to the panel survey released by the provinces Autonomy Administration Committee, 55.2% of local public officials answered that they are not aware of the Comprehensive Plan. While 67.4% of employees of the provincial office and representative administrative agencies said that they knew about the plan, 70% of workers at the Jeju City Municipal Office and community centers said they were not aware of it. Provincial councilors addressed the seriousness of the issue especially during the Administrative Audit and Inspection. The provincial office responded that they would develop a plan to resolve this issue. 최상위 법정계획, 공무원 절반 이상 '모른다' 제주도가 최상위 법정계획인 제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수립을 추진하는 가운데 공직사회 내부에서 이 계획에 대한 인지도가 낮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가 일부 공개한 공무원 패널조사 결과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을 알고 있는지에 대해 공무원 55.2%가 모른다고 응답했습니다. 제주도 본청과 합의제 행정기관에서는 67.4%가 알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제주시 본청과 읍면동 등에서는 모른다는 응답이 70% 가까이로 높았습니다. 도의회는 행정사무감사에서 공직 내부에서 최상위 법정계획을 모른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고 제주도는 교육과정을 만들어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2021.10.18(mon)  |  고주연
  • 43% of Seoul HQ workers of province resign
  • 43% of Seoul HQ workers of province resign Following resignation of former governor Won A large number of the employees of the Seoul Headquarters of the provincial office resigned from their positions following the resignation of former governor Won Heeryong. According to audited results of administrative affairs, six officials in the Department of Parliamentary Relations of the Seoul Headquarters resigned around the time when former governor Won left office. The total number of resigned workers accounts to 43% of its total count of 14. Thus, the provincial council is questioning whether the headquarters can function properly. They added that the provincial government should officially apologize to the residents for the resignation of such a large number of people. 서울본부 직원 43%, 원 전 지사 따라 퇴직 논란 제주도 서울본부에서 근무하던 직원 상당수가 원희룡 전 지사의 사직을 전후해 퇴직한 것으로 드러나 정치적 행보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제주도의회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서울본부 국회협력 담당 부서에 근무하던 임기제 공무원 6명이 원 전 지사 사직을 전후해 퇴직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퇴직한 인원은 서울본부 정원 14명 가운데 43%에 해당합니다. 이에 대해 도의회는 대규모 인원이 사퇴함에 따라 도민에게 유.무형의 피해를 끼친 만큼 제주도가 이에 대해 사과해야 하고 서울본부가 제대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2021.10.18(mon)  |  고주연
  • Installation of radar equipment in Hallasan halted
  • Installation of radar equipment in Hallasan halted Concerns on environmental and illegal issues KCTV Jeju exclusively reports on the installation of radar equipment in Hallasan Mountain, an absolute preservation area. The installation has been halted due to environmental concerns and illegal permission. Seogwipo City announced that they have sent an official document asking for postponement of the construction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city government said that they have made an agreement to halt the construction. Seogwipo City will order the halt after a prior notice for 15 days. The members of the Environment & City Committee of the provincial council visited the construction site on the 15th and urged construction work to be halted until legal review will finish. The provincial office has been criticized that its lax administration led to illegal permission. '절대보전' 한라산 레이더 공사 사실상 중단 KCTV가 집중 보도하고 있는 한라산 절대보전지역 레이더 시설 건설에 대한 환경 훼손과 불법 허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현장 공사가 사실상 중단됐습니다. 서귀포시는 15일 오후 사업 발주처인 국토교통부와 시공사에 공사 보류를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하고 당분간 작업을 중단하기로 협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서귀포시는 조만간 15일 간의 사전예고를 거쳐 공사 중지 명령을 내린다는 계획입니다. 앞서 15일 오전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는 서귀포시 색달동 1100고지 인근 삼형제큰오름 공사 현장을 찾아 법적 검토가 끝날 때까지 작업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의원들은 최근 불거진 불법 허가 논란과 관련해 제주도의 허술한 행정 집행과 공론화 절차 없이 밀실행정을 비판했습니다.
  • 2021.10.18(mon)  |  고주연
  • More subsidies for farmers
  • More subsidies for farmers Province covers up price difference of sauries The provincial office will cover up the difference between current and average price of sauries which are frequently used for baits of hairtails, as their prices spiked due to decrease in the catch of sauries. Thus, the office will subsidize fishermen who purchase the bait to catch hairtails from September. Subsidies will be 12,270 won per box of sauries, that is a difference in the current and 3-year average price. Coast fishing vessels will be able to receive subsidies for 8 boxes of sauries per month, fishing vessels less than 29 tons can receive subsidies for 100 boxes and subsidies for up to 200 boxes can be received by vessels greater than 29 tons. Applications are being received by the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called (수협)Suhyup. 갈치 미끼 '꽁치' 단가 폭등…구매 차액 보전 제주도가 갈치 미끼로 주로 사용되는 꽁치 생산량이 급감해 판매 단가가 폭등함에 따라 차액을 보전해주기로 했습니다. 이에따라 갈치 어획용 꽁치를 구입한 어민을 대상으로 9월 구입분부터 현재 꽁치 판매단가와 최근 3년 평균 단가의 차액인 상자당 1만 2천 270원을 지원합니다. 연안어선은 월별로 8상자, 29톤 미만 근해어선은 100상자, 29톤 이상 근해어선은 200상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을 희망하는 어민은 수협으로 신청하면 됩니다.
  • 2021.10.13(wed)  |  고주연
  • Support for Local Farmers
  • Support for Local Farmers Local farmers along with farmers in other provinces will receive a support fund of 400,000 won beginning next year. The financial reward is proposed to promote public interest in agriculture but as it entails an annual budget of 22 billion won, fairness among industries can't be overlooked. Mike Laidman reports. Local Jeju farmer groups had previously asked the government for provincial support for their industry; the ordinance for this financial support was enacted in July of last year. A similar program is already in place in some mainland provinces including South (충청) Chungcheong Province and (경기) Gyeonggi Province. The beneficiaries of this farmers allowance are those who have been registered residents of Jeju for three or more years and who currently reside in Jeju, are on the list of farmers at the farmer registration system opera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who are actively farming their land. Those who are categorized as employees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or who earn more than 37 million won from non-farming work per year are not qualified for the allowance. It is presumed that about 55,000 farmers currently working in growing crops, forestry products, and raising livestock will qualify for the benefit. If 400,000 won goes to each farmer, that means 22.4 billion won will be required for next year. If the proposed budget bill which includes funds for the farmer allowance is passed by the provincial council, the money is expected to be distributed to farmers in early 2022. However, the provincial office has a lot of other things to get through first. The province's tax revenues are declining due to COVID-19. An additional expenditure of more than 20 billion won every year would put more strain on the province's finances. Departments within the provincial office are reportedly at odds over how to allocate 22.4 billion won of next year's budget. But the province is already pushing ahead with establishment of an ordinance with the same benefits for fishermen. If the petition is successfully accepted and an ordinance for a fishermen's allowance is enacted, the province will face even more outgoing costs. Now, moving forward, other industries are expected to request their own allowances as questions are raised on the fairness between them. Mike Laidman, KCTV 농민수당 내년 첫 지급…예산 부담·형평성 논란 농민단체의 청구로 지난해 7월 제정된 제주도 농민수당 지원 조례안. 충남, 경기 등 다른지역에서 시행하고 있는 농민수당을 제주에도 지급하는 근거를 담고 있습니다. 3년 이상 제주도에 주소를 두며 실제 거주하고 2년 이상 농업경영정보를 등록해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지급 대상으로 정했습니다. 다만 국민건강보험법상 직장 가입자와 농업 외 종합소득액이 연 3천700만 원을 넘으면 제외됩니다. 이를 통해 추산된 지급 대상은 농민과 축산업, 임업 종사자를 포함해 5만 5천여 명. 지급액은 한 명당 1년에 40만 원으로 결정해 내년에만 224억원의 예산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요구한 예산이 그대로 반영돼 도의회를 통과하면 이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실제 지급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세금 수입이 줄어드는 상황에 해마다 200억 원 넘는 지출로 재정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도청 내에서 예산 편성을 놓고 부서 간 다른 의견이 나오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농민뿐 아니라 어업인들도 수당 지급을 위한 조례 제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청구 절차를 거쳐 조례가 제정되면 제주도로서는 수당을 지급할 수밖에 없어 더 많은 예산 지출이 불가피해집니다. 이 밖에 다른 산업에서도 수당 지급을 요구하며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어 농민수당이 시작부터 난관을 맞고 있습니다. KCTV뉴스 Mike Laidman입니다.
  • 2021.10.13(wed)  |  고주연
  • 1.21M of fish, shellfish to be released
  • 1.21M of fish, shellfish to be released Species include red sea cucumbers and abalones The provincial government will release 1.21 million fish at 50 village fisheries from this month through December. The released species include 610,000 red sea cucumbers, 470,000 abalones and 120,000 small abalones. In this month, small abalones will be released, followed by abalones in November and red sea cucumbers in December, considering appropriate sea temperature and surviving conditions. Meanwhile, 820,000 fish and shells were released in village fisheries as future resources during the first half of this year. 마을어장 50곳에 수산종자 121만 마리 방류 제주도가 이달부터 12월까지 도내 50개 마을어장에 수산종자 121만 마리를 방류합니다. 방류 물량은 홍해삼 61만여 마리와 전복 47만여 마리, 오분자기 12만 마리 등입니다. 방류 일정은 적정 수온과 생존 여건 등을 고려해 이달에는 오분자기, 다음 달 전복, 12월에 홍해삼 순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한편 상반기에는 82만 마리가 마을어장 미래 자원으로 방류됐습니다.
  • 2021.10.13(wed)  |  고주연
  • Jeoji Cultural District calls for artists
  • Jeoji Cultural District calls for artists Recruiting artists in resident and culture facilities The provincial government will recruit cultural facilities and artists that will move into the Jeoji Cultural District in Hangyeong-myeon to promote the district. Applicants must have plans to create cultural facilities and can be either individual, corporations, or organizations. Selected applicants must start construction within a year after land purchase and must maintain its purpose as stipulated in its business plan for more than 10 years. The application period will be through the 22nd and successful applicants will be selected in December after a screening process by a review committee. Currently Jeoji district has 33 residence who operate cultural facilities and 7 artists in residents are in the works to develop cultural facilities in the district. 저지문화지구 입주 문화시설·예술인 공모 제주도가 한경면 저지문화지구 활성화를 위해 입주할 문화시설과 예술인을 공모합니다. 공모 대상은 문화시설을 조성할 계획이 있는 개인이나 법인, 단체로 부지를 매입하고 1년 이내에 공사 착공과 10년 이상 사업계획에 정해진 용도로 사용해야 합니다. 공모 기간은 오는 22일까지로 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쳐 12월 대상자가 선정될 예정입니다. 저지 문화지구에는 현재 33명이 입주해 문화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7명의 예술인들이 문화시설 조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2021.10.13(wed)  |  고주연
  • Province localizes New Deal 2.0 initiative
  • Province localizes New Deal 2.0 initiative Plans to create 45,000 jobs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provincial council have proposed a plan to create 45,000 jobs by pushing forward a New Deal 2.0 initiative which is an upgraded version from Jeju’s New Deal initiatives announced last year. The acting Jeju governor, (구만섭) Koo Man-sub and the chief of the Economic Committee for Agricultural, Fishery, Livestock, (현길호) Hyun Kil-ho announced at a press briefing held on the 12th on the outcomes of the Jeju’s New Deal initiatives from last year as well as their future plans. New Deal 2.0 scales-up last years’ Stronger Safety Net to Human New Deal and adds a Regional Balance New Deal. Green New Deal, Digital New Deal, and Human New Deal will continue to operate major projects while discovering new works, and the Regional Balance New Deal will work to strengthen government relations including securing national budgets. The province expects to create 45,000 jobs through the New Deal 2.0 initiative with a plan to invest 6.4 trillion won by 2025. '제주형 뉴딜 2.0' 추진…"일자리 4만 5천개 창출" 제주도와 제주도의회가 지난해 발표한 제주형 뉴딜을 진화시킨 '뉴딜 2.0'을 추진해 일자리 4만 5천여 개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습니다. 구만섭 도지사 권한대행과 현길호 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장은 오늘 공동 브리핑을 통해 지난 1년 간 제주형 뉴딜 추진 성과와 앞으로의 추진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뉴딜 2.0은 지난해 발표했던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 안전망 강화에서 안전망 강화 분야를 휴먼 뉴딜로 확대하고 지역균형 뉴딜을 추가했습니다.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 휴먼 뉴딜은 기존 체계의 주요 사업을 지속하거나 일부 신규 발굴하고 지역균형 뉴딜에서는 국비 확보 등 정부 대응을 강화하게 됩니다. 제주도는 뉴딜 2.0을 통해 2025년까지 6조 4천억 여원을 투입해 일자리 4만 5천여 개를 창출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 2021.10.13(wed)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