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New banking institutions sought
  • New banking institutions sought Applications accepted on October 21st and 22nd. The provincial government has announced that it will select new banking institutions to hold provincial funding for the next three years from 2022. The provincial government posted the announcement on August 30th and will accept applications on October 21st and 22nd. A special committee will then review the submissions and choose two institutions. The first of those two, will be used to hold the island’s general account, while the second will be in charge of the special account. Nonghyup currently holds the general account, which reached 4.9 trillion won this year. That’s three times higher than 1.5 trillion won special account, which is being held by Jeju Bank. 제주도, 6조원 규모 도 금고 지정 일반경쟁 공고 제주특별자치도가 내년 1월 1일부터 3년동안 제주도금고 업무를 수행할 금융기관을 일반경쟁을 통해 지정합니다. 제주도는 8월 30일 금고 지정 신청을 공고했고 10월 21일과 22일 이틀 동안 제안서를 접수 받을 예정입니다. 이어 10월 말쯤 제주도금고지정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1순위 금융기관은 일반회계 금고로, 2순위 금융기관은 특별회계와 기금 금고로 지정할 계획입니다. 현재 제1금고는 농협이, 제2금고는 제주은행이 맡고 있으며 올해 예산을 기준으로 일반회계는 4조 9천여 억 원, 특별회계와 기금은 1조 5천여 억 원으로 3배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 2021.10.01(fri)  |  고주연
  • No genetic identifications made at excavation site
  • No genetic identifications made at excavation site 300 April 3rd victims are assumed to be buried Lawmaker (오영훈) Oh Young-hun pointed out that the genetic identification process is not being followed through where remains of 300 April 3rd victims are assumed to be buried in (골령골) Golyong-gol, Daejeon City are being excavated. According to data submit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o lawmaker Oh, 700 remains have been excavated in the area from last year, but no budget has been assigned to genetic identification and the excavation project is not affiliated with any other organization. After the Korean War, many prisoners at the (대전) Daejeon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people who were wrongfully stigmatized as communists, including 300 missing people during April 3rd incident, were presumed to be murdered and buried in (골령골) Golyong-gol. "4·3 유해 매장 추정 골령골, 유전자 감식 필요" 300여 명의 4.3 불법군사재판 희생자 유해가 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전 골령골에서 유해 발굴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유전자 감식은 뒤따르지 않는다는 지적입니다.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지금까지 골령골에서 유해 700여 구가 발굴됐지만 유전자 감식 예산은 책정돼 있지 않고 제주4.3 유해발굴 사업과도 연계되지 않고 있습니다. 골령골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 대전형무소에 수감돼 있던 재소자와 좌익으로 몰린 민간인들이 집단학살돼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며 4.3 행방불명자 300명도 포함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2021.10.01(fri)  |  고주연
  • Arguments over basic income
  • Arguments over basic income Lawmaker criticizes pledge Political parties are arguing on the basic income pledge that states to provide basic income with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fund, a proposal by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s presidential candidate Lee Jae-myung. The People Power Party’s presidential candidate (유승민) Yoo Seung-min criticized the pledge as populism stating that his pledge is similar to receiving toll fees at toll gates. With regard to Yoo’s comments, lawmaker Song Jae-ho said that Yoo underestimated the efforts that Jeju island has made for the residents as a tourist city. Former Jeju province governor Won Heeryong also participated in this argument. Won said that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fund was established during his term and it is being pushed forward. Won also said that candidate Lee presented the pledge like a new pledge and what he did is kind of stealing pledges. 환경보전기여금 놓고 정치권 공방 지속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제시한 환경보전기여금을 활용한 기본소득 공약과 관련해 정치권에서 공방이 오가고 있습니다. 유승민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공약은 통행세라며 전국 톨게이트나 역에서 만원씩 거둬 기본소득 재원을 마련해야 하냐며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송재호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위원장은 제주도가 관광도시로서 국민에게 봉사하면서 치른 노력을 깎아 내렸다고 지적했습니다. 여기에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도 가세해 자신이 재임 시절 이미 공식화했고, 현재 제주도가 추진하고 있는 제도를 마치 새로운 공약인 것처럼 발표했다며 공약 도둑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 2021.10.01(fri)  |  고주연
  • Organizations against development Nature Theme Park
  • Organizations against development Nature Theme Park Rare plant species found in the area Local environmental organizations have urged to halt development of Jeju Nature Theme Park which will face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as rare plant species were found in the area. The organizations said that 10 rare species, including Willow-leaf lance fern, Jeju grapefern and Island golden calanthe were found at the project site in Dongbok-ri, Gujwa-eup. They are claiming the area to be included in the Gotjawal area with its high ecological value and urged that the business plan be revoked. The Nature Theme Park, which changed its name from Safari World previously, received i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on October 1st. "자연체험파크 부지서 희귀식물 다량 발견…중단해야" 한편 자연체험파크는 과거 사파리월드에서 명칭을 바꾼 개발사업으로 환경영향평가 심의가 예정돼 있습니다. 제주자연체험파크 조성사업에 대한 환경영형평가 심의를 앞둔 가운데 환경단체가 해당 사업지에서 희귀식물이 추가로 발견됐다며 절차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제주지역 환경단체들은 구좌읍 동복리 제주자연체험파크 사업 부지에서 버들일엽과 제주고사리삼, 금새우난초 등 희귀식물 10여 종이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에따라 이들 단체는 해당 부지의 생태적 우수성이 인정된 만큼 사업지를 곶자왈 보호지역에 포함시키고 사업 계획을 반려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자연체험파크는 과거 사파리월드에서 명칭을 바꾼 개발사업으로 10월 1일 환경영향평가 심의가 예정돼 있습니다.
  • 2021.10.01(fri)  |  고주연
  • Greenland Sells 80% Share in Jeju Hospital
  • Greenland Sells 80% Share in Jeju Hospital Greenland International Medical Center in the Jeju Healthcare Town has been sold. The center, which would have been the nation’s first for-profit hospital, had its license rescinded prior to opening two and a half years ago. Greenland sells 80% share to Korean corporation The transaction involves the sale of a 75 percent stake by Greenland Group, with a further 5 percent in the works. Once the purchase is finalized, the share distribution will be eight to two between the buyer—a Korean medical corporation—and the Chinese-owned firm. The Korean corporation was established by local business people in the medical field. Its parent company produces pharmaceuticals and operates a domestic hospital. Following the recent contract signing, an interim payment was made, with the remainder set to be paid out in November. A majority share of the company, in this case a 51 percent stake or higher, means that ownership of the hospital building will be legally transferred to the Korean corporation. (문대림) Moon Dae-rim, CEO of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Development Center which is associated with Jeju Healthcare Town, announced the sale of the medical center. He said the transaction is a part of an ongoing effort to normalize Jeju Healthcare Town, and that the Greenland Group has modified its for-profit plan for the hospital. Greenland Group still has 20 percent of shares. Insiders believe that the firm will play a role in bringing Chinese patients to the hospital, which in turn will lead to increases in profits at its hotel and other Greenland-owned businesses. Both parties are reportedly open to transitioning from a for-profit model. A local court recently ruled that the province’s initial cancellation of the medical center’s business license was unfair, siding with the plaintiff — Greenland Group. Both parties are waiting on a Supreme Court decision on the matter. For now, the Chinese-owned firm has ostensibly given up its business as a foreign medical institution. And though questions remain about how the deal will play out, progress appears to be at hand. Todd Thacker, KCTV 녹지지분 매각 공식 확인…"비영리병원 전환" 개설 허가 취소로 2년 반 동안 방치되던 녹지국제병원이 국내 모 인사에게 매각됐습니다. 지분 75%를 매각하는 양자 간 계약이 체결됐고 조만간 5%를 추가 매각하면 8 대 2의 지분 구조가 형성됩니다. 계약 당사자는 녹지병원, 그리고 국내 의료 관련 인사가 제주에서의 사업을 목적으로 별도 설립한 특수 목적 합작 법인으로 확인됐습니다. 국내에서 제약과 병원을 운영하고 있는 업체입니다. 최근 계약에 따른 중도금이 지급된 데 이어 11월쯤에는 잔금까지 처리될 예정으로 전해졌습니다. 통상적으로 지분의 51% 이상 보유하면 소유권이 인정되는 만큼 지분 80%를 차지한 법인 쪽으로 녹지병원 건물에 대한 소유권이 넘어가는 상황입니다. 그 배경을 두고 논란이 커져가던 가운데 헬스케어타운 공동 사업자인 JDC의 문대림 이사장이 이 같은 사실을 공식화했습니다. 문 이사장은 녹지병원 매각은 헬스케어타운 정상화 과정이라며 녹지 측이 더 이상 영리병원을 고집하지 않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습니다. 녹지 측이 나머지 지분 20%를 유지한 배경으로는 중국인 환자를 유치하는 역할과 동시에 녹지가 보유한 호텔 등 상업시설 이용을 유도하는 목적으로 풀이됩니다. 계약 당사자인 모 법인 측에서 영리병원에 대한 욕심은 없다는 입장으로 전해진 가운데 녹지 측도 영리병원이 아닌 비영리병원, 즉 일반병원으로의 전환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습니다. 특히 항소심을 이기고 대법원 판결을 앞둔 시점이어서 매각 배경에 대한 궁금증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CTV뉴스 Todd Thacker입니다.
  • 2021.09.29(wed)  |  고주연
  • Stricter farmland acquisition rules
  • Stricter farmland acquisition rules Properties must undergo review process The screening process for acquiring farmlands will be more thorough from beginning next year with revision to the Farmland Act. The provincial office said that as the revised Farmland Act has been promulgated it is establishing farmland management committees at cities and community administrative districts from August 18th of next year. Thus, people who want to acquire farmlands at speculation-prone areas and buyers or agricultural corporations that wish to purchase lands must undergo a review process by the committee to obtain qualification. In addition, beginning in May of next year proof documents will be required for the review process that indicate farmers’ work and agriculture experience. 농지취득 자격 심사 강화…농지위원회 설치 내년부터 농지취득 자격 심사가 한층 엄격해집니다. 제주도는 지난달 개정된 농지법이 공포됨에 따라 내년 8월 18일부터 행정시와 읍면에 농지위원회를 설치하는 근거가 마련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에따라 투기 우려 지역이나 다른지역 거주자, 농업법인이 농지를 취득하려는 경우 반드시 농지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자격증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함께 내년 5월부터는 농업경영계획서 심사 과정에 신청자의 직업과 영농경력 등을 기재한 증명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2021.09.29(wed)  |  고주연
  • Subsidies offered for agricultural machinery
  • Subsidies offered for agricultural machinery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Jeju branch of the (농협) NongHyup Agribusiness Group will subsidize costs of purchasing agricultural machinery.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from October 13 through November 3rd. Applicants must be local farmers who are registered as agricultural management bodies and selected applicants will receive up to 2.4 million won per farm. The amount of subsidies will differ by type of machinery and recipients will be confirmed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of next year. People who have received the subsidy before will be excluded from eligibility. 농기계 구입비 지원 제주도와 농협경제지주 제주지역본부가 농민들의 농기계 구입비를 지원하기로 하고 10월 13일부터 11월 3일까지 신청을 받습니다. 지원 대상은 농업경영체로 등록된 도내 농업인으로 농가 1곳당 최대 24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제주도는 수요 대상 농기계별로 사업비를 차등 배분하고 내년 1~2월 중 사업 대상자를 확정할 계획입니다. 다만 앞서 지원받은 이력이 있는 경우 사업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2021.09.29(wed)  |  고주연
  • 49% of swine manure purified in Jeju
  • 49% of swine manure purified in Jeju The province is working to purify and reuse 1,321 tons of swine manure from January through August. This is 49% of daily swine manure production in Jeju. The provincial government analyzed that the ratio of spraying liquid manure is decreasing. Water used in purifying swine manure is being reutilized for cleaning and spraying fog and is used as cooling water for a resource plant operated by Jeju (양돈 농협) Yangdon Nonghyup. The province is planning to boost the reutilization rate to 70% by 2023 through spending 3 billion won on five farms to purify 90 tons of swine manure per day. 제주지역 양돈분뇨 정화 처리 비율 49% 제주도가 올들어 지난달까지 양돈분뇨 1천 321톤을 정화 처리해 재이용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도내 양돈분뇨 하루 발생량의 49% 수준으로, 그만큼 중산간 액비 살포 비율이 줄고 있는 것으로 제주도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양돈분뇨 정화 처리수는 제주양돈농협이 운영하는 자원화공장에서 세척 용수와 안개 분무 용수, 냉각수 등으로 활용됩니다. 제주도는 올해 5개 농가에 예산 30억 원을 투입해 하루 90톤의 분뇨를 정화 처리하는 등 2023년까지 재이용 비율을 7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 2021.09.29(wed)  |  고주연
  • Disorder behavior to be punished
  • Disorder behavior to be punished Countermeasures are to be established to prevent and manage disorder behavior including homeless people from wandering the streets at Tamna Square in Jeju City. Along with other organizations, the Jeju Municipal Police will promptly carry out actions and will seek measures, including increasing the number of field employees from two to five and will conduct inspections once a week with other related agencies. In addition, legal grounds for crackdown in no drinking areas will be established by creating a legal basis for punishment, such as inserting a punishment clause. Homeless people who seek shelter on the streets at Tamna Square have become a concern. But no one is taking responsibility resulting in the city having no effective countermeasures. 탐라문화광장 무질서 행위 근절 대책 추진 제주시 탐라문화광장 노숙인 문제 등 무질서행위 근절을 위한 대책이 추진됩니다. 제주도자치경찰단은 우선 현장 근무인력을 2명에서 5명으로 증원하고 유관기관과 주 1회 합동순찰을 실시하는 등 신속한 현장조치와 함께 개선 방안을 공동 모색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이와함께 음주청정지역에 대한 단속근거 마련을 위해 관련 조례상 벌칙조항 신설을 추진하는 등 처벌근거를 마련할 방침입니다. 탐라광장 노숙인 등에 대한 문제는 여러 차례 제기됐지만 이를 총괄하는 부서가 없어 근본적인 대책이 어려운 실정입니다
  • 2021.09.29(wed)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