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10 additional Sunureum Childcare Centers planned
  • 5. 10 additional Sunureum Childcare Centers planned Province offering ₩50m for remodeling, ₩6m for operational expenses The provincial government is expanding the number of (수눌음) Sunureum Childcare Centers, where parents help each other take care of their children. The province began a 15-day public search for 10 new center locations February first. Non-profit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can apply to open a center. Those selected will receive 50 million won for remodeling and 6 million won for program operations. The (수눌음) Sunureum Childcare Center project began in 2016. There are currently 29 centers. '공동육아' 수눌음육아나눔터 10개소 선정 제주특별자치도가 공동육아 돌봄 공간인 수눌음육아나눔터 조성을 확대합니다. 이를 위해 2월 1일부터 보름간 공모를 통해 수눌움육아나눔터 10개소를 선정하게 됩니다. 비영리법인이나 단체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선정되면 리모델링 사업비 5천만원과 프로그램 운영비 600만원이 지원됩니다. 지난 2016년부터 시작된 수눌음육아나눔터 조성사업은 현재 29개소에 이르고 있습니다.
  • 2019.01.31(thur)  |  김동국
  • EV drivers now have to pay at Provincial Office parking lot
  • 4. EV drivers now have to pay at Provincial Office parking lot Province collected ₩64m in fees at lot last year Drivers of electric vehicles now have to pay at the Provincial Office parking lot. The province began collecting fees February first from people who park for over one hour. Through January, EV drivers could park for free. They are paying only half of what drivers of standard vehicles pay. Cars owned by April 3rd Incident victims and their relatives also get the 50 percent discount. Last year, 450,000 cars used the parking lot. They paid a total of 64 million won in fees. 도청 주차장 전기차 주차요금 부과 제주도청 주차장에서 전기차에 대한 주차요금이 부과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다음달부터 현재 주차요금을 받지 않고 있는 전기자동차에 대해 최초 1시간 면제 후 이후부터 요금을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기존 차량에 비해 주차요금을 50% 감면해 주기로 했습니다. 또 4.3 희생자와 유족의 차량에 대해서도 주차요금의 50% 감면혜택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의 경우 45만대의 차량이 제주도청 주차장을 이용했으며 이에 따른 요금으로 6천 400만원을 징수했습니다.
  • 2019.01.31(thur)  |  김동국
  • Fewer people moving to Jeju from elsewhere in country
  • 3. Fewer people moving to Jeju from elsewhere in country Total falls short of 10,000 for first time in 5 years For the first time in five years, fewer than 10,000 people in one year have moved to the island from other parts of the country. Statistics Korea says only 8,853 people moved to Jeju last year. The tally had topped 10,000 since 2014, when it hit 11,112. 1,038 people moved to Jeju in January 2018, 766 came in June, and only 47 in December. Analysts say that’s evidence that the rush to Jeju that began in 2010 is petering out. 제주 이주인구 5년 만에 1만명 이하로 떨어져 다른 지역에서 제주로 이주해 오던 인구가 5년만에 처음으로 1만명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순유입 인구는 8천 853명으로 지난 2014년 1만1천112명을 기록한 이후 처음으로 1만명을 넘지 못했습니다. 지난해 월별 순유입 인구는 1월 1천38명을 기록한 후 6월에는 766명, 12월에는 47명에 그쳤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2010년부터 이어졌던 이주열풍이 한풀 꺾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 2019.01.31(thur)  |  김동국
  • Dongbok-ri landfill to begin accepting waste February 15
  • 2. Dongbok-ri landfill to begin accepting waste February 15 Facility will be complete in March The Environmental Resources Recycling Center in (동복리) Dongbok-ri, (구좌읍) Gujwa-eup will begin operations February 15th. As the island’s landfills approach full capacity, zones 1 and 6 at the Dongbok landfill are now partially complete and will begin accepting general waste and fly ash on the 15th. The Dongbok-ri Village Association, which had organized group opposition to the facility to suspend construction, has said that it will now work to get the center up and running. The landfill has a capacity of 2.4 million tons of waste. Construction is 90 percent finished, and it is scheduled for full completion in March. 동복리 매립장, 2월 15일부터 쓰레기 반입 구좌읍 동복리 환경자원순환센터가 2월 15일부터 가동을 시작해 쓰레기를 반입합니다. 제주도는 도내 매립장 시설이 만적에 다다른 가운데 동복 매립장 시설 가운데 1구역과 6구역이 부분 준공됨에 따라 2월 15일부터 일반 폐기물과 비산재를 반입하기로 했습니다. 단체 행동으로 공사 중단을 불러왔던 동복리 마을회도 환경자원순환센터가 잘 조성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동복리 환경자원순환센터 매립장은 240만 톤을 매립할 수 있는 규모로 오는 3월 말 준공을 앞두고 현재 공정율은 90%를 보이고 있습니다.
  • 2019.01.31(thur)  |  김동국
  • Municipal police to handle calls to 112 hotline
  • 1. Municipal police to handle calls to 112 hotline Part of gradual shift of responsibilities from provincial police The municipal police force will be getting more officers, because it, rather than the provincial police, will soon be dispatched when someone calls the 112 emergency hotline. The National Police Agency released a three-phase plan to expand the municipal police force. 137 national officers assigned to the provincial police will be transferred to the municipal force. It will then have 260 officers to handle 12 areas of responsibility, which include 1-1-2 call responses as well as work related to general safety, women’s and youth issues, and traffic. National police will have 42 areas of responsibility, including crime, traffic accidents, sexu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and child abuse. Even though the municipal police will be responsible for responding to 1-1-2 calls, national police officers will accompany them and work side-by-side with them in the 1-1-2 response center. 112 신고 자치경찰이 현장 출동...제주자치경찰 확대운영 112신고 출동 업무가 자치경찰로 넘어가고 인원도 대폭 확대됩니다. 경찰청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주자치경찰 확대운영 3단계 방안을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지방경찰청 소속 국가경찰 137명이 자치경찰로 추가 파견돼 모두 260명이 자치경찰에서 생활안전·여성청소년·교통·112출동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국가경찰은 범죄, 교통사고, 성폭력·가정폭력·아동학대등 42종을, 자치경찰은 112 출동을 비롯한, 교통 불편 등 12종을 각각 담당합니다. 자치경찰 소관 사무라도 긴급신고는 국가경찰이 함께 출동하며 112상황실에는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이 합동 근무하면서 현장 정보를 공유하게 됩니다.
  • 2019.01.31(thur)  |  김동국
  • Traditional games, activities at Jejumok Gwana
  • 5. Traditional games, activities at Jejumok Gwana 2 PM-5 PM on Tuesday, 11 AM-5 PM on Wednesday The Jeju World Heritage Center has organized a variety of traditional games and activities at Jejumok Gwana on February 5th and 6th. People can enjoy jegichagi, tuho, (윷놀이) yutnori, (팽이치기) pengichigi, and other games from 2 p.m. to 5 p.m. on Tuesday and from 11 a.m. to 5 p.m. on Wednesday. It’s not just games, either: visitors will be able to make golden piggy banks, lucky bags, and magic balloons. 설 명절 제주목 관아 민속놀이 다채 제주도 세계유산본부가 설 명절을 맞아 2월 5일과 6일 이틀간 제주목 관아 일원에서 다양한 민속놀이와 체험마당을 운영합니다. 설날인 5일은 오후 2시부터 오후 5시까지, 6일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제기차기와 널뛰기, 투호, 윷놀이, 팽이치기 등을 즐길 수 있습니다. 또 황금돼지 저금통 만들기와 새해소망 복조리 만들기, 요술풍선 만들기 등의 체험프로그램도 마련됩니다.
  • 2019.01.31(thur)  |  김동국
  • Airport to run ‘traffic response team’
  • 4. Airport to run ‘traffic response team’ 540,000 people to use facility over holidays The Jeju branch of Korea Airports Corporation is running a special team to deal with traffic issues through February 7th. The KAC projects some 540,000 people will use the airport over the next few days. That’s 1.2 percent more than over the Lunar New Year holidays last year. The number of flights will increase 0.2 percent over the same period to 3,200. KAC representatives are asking travelers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over the holidays to keep traffic congestion at the airport to a minimum. 제주공항 설 연휴 특별교통대책반 운영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가 설 연휴 기간인 2월 1일부터 7일까지 특별교통대책반을 설치해 운영합니다. 공항공사에 따르면 이번 설 연휴 기간 제주공항 이용 승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증가한 54만명으로 예상됩니다. 또 항공기 운항도 전년보다 0.2% 증가한 3천200여 편에 이를 전망입니다. 공항공사는 설 연휴 기간 혼잡이 예상되는 만큼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 2019.01.31(thur)  |  김동국
  • Province boosts grant for electric microcar purchases
  • 3. Province boosts grant for electric microcar purchases Combined government subsidies now total \8.2m per car The provincial committee charged with boosting the use of electric vehicles on the island has decided to increase the local government grant for purchases of new electric microcars to four million won. That’s 1.5 million won more than last year. When combined with the national subsidy of 4.2 million won, buyers will get 8.2 million won. Electric microcars are defined as being up to 3.5 meters in length, 1.5 meters in width, and 2 meters in height. There are three models to choose from: Renault Samsung Motors’ Twizy, Daechang Motors’ Danigo and Semisysco’s D2. They cost between 15 million and 22 million won. 초소형 전기차 도비 보조금 400만원 지원 올해 초소형 전기차 도비 보조금이 400만원으로 증액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전기차활성화위원회 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습니다. 이같은 보조금은 지난해 보다 150만원 증액된 것으로 전체 보조금은 국비 420만원을 포함해 820만원 입니다. 초소형 전기차는 길이 3.6m에 너비 1.5m, 높이 2m 이하이며 시중에는 르노의 '트위지', 대창모터스의 '다니고', 세미시스코의 'D2'가 판매되고 있으며 가격은 1천 500만원에서 2천 200만원입니다.
  • 2019.01.31(thur)  |  김동국
  • First case of measles in Jeju
  • 2. First case of measles in Jeju 34-year-old woman tests positive A measles outbreak on the mainland has spread to dozens of people, and now Jeju has its first confirmed case. The Jeju City Seobu Public Health Center says a 34-year-old woman, who had traveled to Vietnam, has tested positive for measles. She came down with a cough and a runny nose on January 15th, and then a rash on the 28th. Health authorities are now monitoring the woman’s friends and relatives who traveled with her. 41 people across the country have tested positive for measles this winter. 제주 첫 홍역 환자 발생, 보건당국 역학조사 전국적으로 홍역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첫 홍역환자가 발생하며 보건당국에 비상이 걸렷습니다. 제주시 서부보건소는 지난 달 초 베트남을 여행했던 34살 여성 A씨가 1월 15일 기침과 콧물 증상에 이어 28일 발진 증상을 보여 병원을 찾은 결과 홍역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보건당국은 A씨와 함께 여행했던 가족과 친구 등을 상대로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한편 올 겨울들어 전국적으로 모두 41명이 홍역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 2019.01.31(thur)  |  김동국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