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Province plans to charge building owners for traffic congestion
  • 5. Province plans to charge building owners for traffic congestion If council passes proposal, first bills will be issued in October 2020 Traffic congestion is a growing problem on the island, and the provincial government plans to address the issue by charging building owners for the congestion the structures cause. This new system is included in the revision to the urban traffic improvement ordinance that the province has submitted to the provincial council. Buildings would be charged annually 350 to 1,600 won per square meter of floor space depending on their size. If the council passes the proposal, the new rule will go into effect in August, with the first bills issued in October 2020. 내년 '교통유발부담금' 제도 첫 시행 제주지역 교통난이 날로 심화되는 가운데 내년부터 제주에서도 교통유발부담금 제도가 처음으로 시행됩니다. 제주도는 교통유발부담금 제도를 담은 도시교통정비 촉진 조례 개정안을 마련해 제주도의회에 제출했습니다. 교통유발부담금은 교통 수요를 유발하는 시설에 부담금을 부과하는 제도로 시설물 규모에 따라 제곱미터당 350원부터 1천 600원까지 책정됐습니다. 조례안에 도의회를 통과하면 내년 8월부터 1년 단위로 부담금을 부과하게 되며 첫 고지서는 2020년 10월 발급됩니다.
  • 2018.11.12(mon)  |  김동국
  • Nation’s highest prevalence of pediatric atopic dermatitis
  • 4. Nation’s highest prevalence of pediatric atopic dermatitis 7.3% of local children had skin condition in 2015 Among all of the nation’s children, the proportion of those suffering with atopic dermatitis is highest in Jeju.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the Korean Atopic Dermatitis Association say that the prevalence in Jeju was 7.3 percent in 2015. That was the highest among the nation’s 17 provinces and major cities. The association says the reason for the high rate is the high number of cedar trees in Jeju. Researchers say they can cause the skin condition. 제주 소아 아토피 유병률 전국 최고 제주지역 어린이의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대한아토피 피부염학회가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유병률 등을 분석한 결과, 2015년 기준 제주의 소아 아토피 유병률은 7.3%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 아토피 피부염학회는 도내 소아 아토피 환자 유병률이 높은 것은 아토피 피부염을 일으키는 삼나무가 많이 심어져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 2018.11.12(mon)  |  김동국
  • Fewer winter flights this year
  • 3. Fewer winter flights this year 15 fewer per week through end of March It may be a challenge to find domestic airline tickets off the island this winter, because there will be fewer flights from Jeju. The transport ministry says the number of weekly flights will be cut from last year’s 1,482 to 1,466 through the end of March. Asiana Airlines will go from 305 to 294 flights, Jeju Air from 246 to 239, and Jin Air from 170 to 164. Korean Air, Eastar Jet, and T’way Air will operate the same number of flights as last year, while Busan Air will be making more departures: it’s going from 137 to 144 per week. 동절기 제주노선 항공편 운항 감소 올 겨울철 제주기점 국내선 항공편 운항이 감소해 좌석난이 우려됩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내년 3월 말까지 동계기간 동안 국내 제주노선 운항횟수는 1천482회에서 천466회로 감소했습니다. 항공사별로는 아시아나항공이 305회에서 294회로, 제주항공은 246회에서 239회로, 진에어는 170회에서 164회로 각각 줄여 운항합니다. 대한항공과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은 지난해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에어부산은 지난해 137회에서 올해 144회로 늘렸습니다.
  • 2018.11.12(mon)  |  김동국
  • Land Transaction Permission Zone designation extended
  • 2. Land Transaction Permission Zone designation extended Government must approve sales around site for 2nd airport Authorities have extended for another three years the designation of a Land Transaction Permission Zone in Seongsan-eup, Seogwipo. The designation covers 107 square kilometers of land, which includes the area in and around the planned location for Jeju’s second airport. That zone contains 53,000 separate plots, for which the designation has been extended from this Wednesday to November 14th, 2021. Prior government permission is required to transfer land ownership and surface rights and to make a land contract within Land Transaction Permission Zones. 성산읍 전역 '토지거래허가' 3년 연장 제2공항 건설 예정 부지인 서귀포시 성산읍 전역이 오는 2021년까지 추가로 3년 동안 토지거래계약 허가구역으로 지정됐습니다. 제주도는 제2공항 개발사업 예정지와 주변지역 107 제곱킬로미터를 토지거래계약에 관한 허가구역으로 지정 공고했습니다. 해당 구역은 5만 3천여 필지로 지정 기간은 오는 14일부터 2021년 11월 14일까지 3년입니다. 이 기간에 토지 소유권이나 지상권을 이전하거나 계약을 체결하려면 행정 허가를 받아야 하며 허가를 받지 않을 경우 계약 효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2018.11.12(mon)  |  김동국
  • Officials to take another look at Safari World project
  • 1. Officials to take another look at Safari World project City planning committee discussed development November 9 The province’s city planning committee has decided to again reconsider the construction of a new tourist attraction called Safari World. The committee convened for a meeting November 9th at the provincial office. Members discussed the designation of the Safari World site as a development promotion zone. The last time the committee met, members ordered that a study be done on the boundary between the development and the nearby gotjawal forest. That study is still underway, so members decided to take up the issue again after it is complete. The committee also ordered the developer to supplement plans for water supply and usage. 사파리월드 조성사업 '재심의' 제주도 도시계획위원회가 사파리월드 조성사업에 대해 또다시 재심의 결정을 내렸습니다 . 위원회는 9일 오후 제주도청에서 회의를 열고 사파리월드 조성사업에 대한 개발진흥지구 지정 안건을 심의했습니다. 위원회는 지난 번 부대조건이었던 곶자왈 용역이 아직 진행 중인 만큼 용역이 끝난 뒤 안건을 재상정해 논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아울러 사업자 측에 용수공급과 중수활용계획을 보완하라고 주문했습니다.
  • 2018.11.12(mon)  |  김동국
  • Drinking banned at 846 locations
  • 5. Drinking banned at 846 locations Tamna Culture Square, school zones, urban parks The provincial government has designated hundreds of new alcohol-free zones. As part of efforts to minimize alcohol-related disturbances and disorder, the province has banned drinking at 846 locations. The list includes Tamna Culture Square, zones around area elementary schools, and 92 popular urban parks. The province will dispatch municipal police to alert the public to the new rules, and it plans to spend 100 million won next year to erect signs declaring the areas to be alcohol-free zones. 도시공원 등 846곳 '음주청정지역' 지정 탐라문화광장과 도시공원, 초등학교 주변이 음주청정지역으로 지정됐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음주로 인한 소란과 무질서 근절을 위해 이용객이 많은 도시공원 92개소와 탐라문화광장, 초등학교 주변 어린이보호구역 등 840여 곳을 최근 음주청정지역으로 고시했습니다. 제주도는 자치경찰을 수시로 파견해 계도활동을 펼치고 내년에는 예산 1억 원을 투입해 음주청정지역 안내판을 설치할 계획입니다.
  • 2018.11.09(fri)  |  김동국
  • Stricter oversight of businesses deemed ‘harmful’ to minors
  • 4. Stricter oversight of businesses deemed ‘harmful’ to minors Seogwipo to begin crackdown after university entrance exam Seogwipo officials say they will be keeping a closer eye on area businesses that are deemed harmful to minors after the November 15th university entrance exam. Authorities will focus through the end of the year on about 800 bars and entertainment businesses, to ensure they aren’t allowing access or employing minors and that they aren’t engaging in illegal alcohol sales. Violators will face business suspensions and criminal charges. 서귀포시, 수능 이후 청소년 유해업소 점검 서귀포시가 대입 수능이 치러지는 오는 15일 이후부터 연말까지 청소년 유해업소를 집중 관리합니다. 주점이나 유흥업소 등 800곳을 대상으로 청소년을 출입시키거나 고용하는 행위, 주류를 제공하는 행위 등 불법 영업을 단속하게 됩니다. 위반행위가 적발될 경우 영업정지 처분과 함께 사법기관에 고발한다는 방침입니다.
  • 2018.11.09(fri)  |  김동국
  • Jeju City looking for ‘missing’ residence tax revenue
  • 3. Jeju City looking for ‘missing’ residence tax revenue Inspecting businesses that have changed locations or payroll details Jeju City is looking for missing residence tax revenue. It will inspect businesses with a gross area of over 330 square meters or that pay out more than 135 million won in average salary per month. The city is looking for cases in which the business sites or salary payments have changed in a way that the firms should be paying more in residence tax. Officials say any businesses they find that owe more will be required to make payments in January. 제주시, 주민세 누락세원 일제 조사 제주시가 주민세 누락세원을 일제 조사합니다. 조사 대상은 연면적 330제곱미터를 넘거나 종업원 월평균 급여 총액이 1억 3천500만 원을 넘는 사업장입니다. 이번 조사는 사업장이나 급여지급 현황 등에 변동이 있을 경우 과세대장에 반영하지 않아 부과 대상이 누락된 사례를 찾기 위한 조치입니다. 제주시는 발견된 사업장에 대해 내년 1월에 주민세를 부과할 방침입니다.
  • 2018.11.09(fri)  |  김동국
  • 2 from Hallim Suhyup indicted for alleged hiring malpractice
  • 2. 2 from Hallim Suhyup indicted for alleged hiring malpractice HR employee, head of labor union heading to court Authorities have indicted two people from Hallim Suhyup for alleged corruption in the hiring process. The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says that at the end of 2015, the 64-year-old labor union at Hallim Suhyup leader failed to inspect applications or put prospective employees through interviews when 12 workers were being hired. He allegedly simply asked current employees to draw up a list of new hires. Prosecutors say the other defendant, a 51-year-old human resources staff member, disregarded regulations and allowed five unqualified applicants to sit for interviews. 채용비리 의혹 한림수협 조합장 등 2명 기소 채용비리 의혹을 받고 있는 한림수협 조합장 등 관계자 2명이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제주지방검찰청은 지난 2015년 말 하역직원 12명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서류심사나 면접시험을 거치지 않고 직원들에게 내정자 명단을 작성하도록 한 한림수협 조합장 64살 김 모씨를 위력과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 혐의로 기소했다고 밝혔습니다. 검찰은 또 인사 공고에 명시된 주소지 규정에 미달된 5명을 면접을 보게 한 인사 담당자 51살 김 모 씨도 함께 기소했습니다.
  • 2018.11.09(fri)  |  김동국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