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반의 준비에도" 서부 지역 고수온 피해 '속출'
문수희 기자  |  suheemun43@kctvjeju.com
|  2025.08.28 16:43
영상닫기
         제주 바다 수온이 30도에 육박하며
올해도 양식 어가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경영비 폭등에
해마다 반복되는 고수온 피해까지
양식 어가의 어려움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보도에 문수희 기자입니다.
서귀포시 대정읍의 한 광어 양식장.

이 양식장은 지난해 여름 유례없는 피해를 경험한 뒤
거금을 들여 시설을 보강하고
행정 지원을 받아 액화 산소 공급기도 설치했습니다.

만반의 준비에도 불구하고
올해도 어김없이
더위에 죽은 광어를 내다 버리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브릿지 : 문수희 기자>
"올해 여름도 고수온으로 이 양식장에서만
광어 10여 톤이 폐사하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현재 제주도 표층 수온은 30도에 육박하며
평년보다 3도가량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제주도로 접수된 고수온 피해는
31개 어가에서
24만 6000마리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동부지역과 달리
염지하수를 활용할 수 없는 서부지역에 피해가 집중됐습니다.

서부지역 어민들은
여름철 만이라도
염지하수를 활용할 수 있게 규제 완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김창협 대정읍 광어양식어가>
“수온이 30도 이상 오르다 보니 저 뿐만 아니라 서부지역, 지하수 없는 지역은 다 피해를 입었습니다. (여름철 염지하수 활용) 허가를 해달라고 몇 번이고 요청�지만


아직도 도에서는 안된다고 하니까 답답합니다."




치솟은 사료값, 전기료에
여름마다 반복되는 고수온 피해까지 겹치며
양식 어가의 어려움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기자사진
문수희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