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앞둔 오일장…"올해도 소박한 명절"
김지우 기자  |  jibregas@kctvjeju.com
|  2025.10.02 13:13
영상닫기
                  민족 최대 명절 추석을 앞두고 오일장이 열렸습니다.

예년 같으면 대목을 누려야 할 시기지만
물가 상승과 경기 불황에
소비자들의 지갑은 쉽게 열리지 않았습니다.

도민들은 올해도 간소한 명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지우 기자입니다.

오일장 안 과일 과게.

제수용품과 명절 선물을 사려는 손님들로 북새통을 이룹니다.

하지만 비싼 과일 값에
쉽사리 물건을 고르지 못하고 상태를 꼼꼼히 살핍니다.

차례상에 빠지지 않는 사과와 배는
개당 5천원에 달하면서
선뜻 손길이 가지 않습니다.

<인터뷰 : 강해생 / 제주시 노형동>
“사과 값이 너무 올라서 부담스럽고요. 예전에 비하면 양을 3분의 1로 줄였어요. 조금씩만 조금씩만 해요, 많이 안 해요. 너무 부담스러우니깐.”

생선 가게도 상황은 다르지 않습니다.

고수온의 영향으로
어획량이 줄면서 가격이 올랐습니다.

시민들은
조금이나마 부담을 덜기 위해
차례상에 올릴 음식 양을 줄입니다.

<인터뷰 : 홍정운 / 제주시 외도동>
“아이고 너무 비싸서 작년에 10만 원이면 올해 20만 원 잡아야 돼요. 간단하게 하죠 비싸니깐.”


<스탠드업 : 김지우>
"추석 전에 열린 마지막 오일장이지만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차례도 간소화되면서 대목장은 예년만 못한 상황입니다."

가뜩이나 어려운데
추석을 앞두고 물가까지 올라
가계 부담을 더 키우고 있습니다.

지난달 도내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2% 오르며
한 달 만에 상승폭이 0.9%포인트 확대됐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올라선 건
2024년 7월 이후 1년 2개월 만입니다.

특히 추석에 수요가 늘어나는
농축수산물이 3.9% 올라 체감 물가는 더 높습니다.

한숨이 나오는 건 상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인터뷰 : 안종의 / 과일가게 업주>
“이제는 대목이라는 게 없어요. 평상시와 똑같이 그래도 더운데 오일장 찾아주니까 참 고맙고, 오일장을 여행하니까 너무 고맙고 다른 건 없습니다.


버는 거야 옛날하고 차이가 어마어마해요.



여러 민생대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녹록지 않은 경기 탓에
도민들은
올해도 풍요롭기보단
소박하게 추석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김승철)

        
        
기자사진
김지우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